與野, 너도나도 때리기..박근혜의 침묵 대처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주요 현안에 대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의 대표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박 전 대표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줄곧 유지해온 정중동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 특히 최근 박 전 대표에 대한 공세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강화되는 추세지만 박 전 대표의 침묵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헌, 과학벨트, 복지정책.."朴 입장 밝혀야" 여야 정조준여야를 가리지 않고 차기 주자들의 박 전 대표에 대한 견제는 이미 본격화됐다. 가장 눈길은 끄는 인사는 개헌 전도사로 불리는 이재오 특임장관이다. 여권 내에서 킹 또는 킹메이커의 가능성을 엿보고 있는 이 장관은 최근 개헌 전도사로 변신, 박 전 대표와 명확한 대립각을 세웠다. 여의도 복귀 이후 박 전 대표와 관계회복에 공을 들이며 90도 인사를 선보이던 때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이 장관은 개헌 문제를 이른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라며 박 전 대표를 정조준했다. 또한 "(대선) 2년 전부터 대통령에 나온다든지, 대통령이 다 된 것처럼 일하는 것은 국민을 많이 피곤하게 한다"고 박 전 대표의 대선행보를 비난했다. 여권 내 차기 잠룡으로 평가받는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 역시 연일 박 전 대표와 각을 세우고 있다. 정 전 대표는 "미래나 비전에 관해 얘기할 능력이 떨어지면서 다들 복지에 뛰어드는 것에 대해 우려하게 된다"며 박 전 대표의 복지구상을 에둘러 비판했고 개헌 논의에 미온적인 박 전 대표의 태도도 꼬집었다. 야권 역시 마찬가지다.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10일 과학벨트 입지 논란과 관련, "박근혜 의원은 주요 현안에 기회주의적 정치행태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과학비지니스벨트에 대한 입장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한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구상과 관련, "복지는 곧 민주주의다. 박근혜 의원에게는 그런 철학이 없다"며 "박근혜 의원의 복지론은 견강부회고, 염치없는 복지론"이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앞서 정동영 최고위원도 "복지를 소비로 보거나 자선으로 보는 시각을 가지고는 보편적 복지는 불가능하다. 복지를 동정심으로 보는 시각, 과거 개발연대 박정희 시대의 시각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박 전 대표의 복지구상을 비판했다. 박 전 대표에 대한 공세에는 전직 대통령까지 나서고 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민주동지회 신년인사회에서도 "2년이나 남은 대선이 조기에 과열되는 것은 나라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박 전 대표의 대선행보를 비판한 바 있다. ◆"맞대응은 불필요한 논란만 증폭"..정중동 행보 이어갈 듯여야를 가리지 않고 박 전 대표를 향한 공세가 본격화하고 있지만 박 전 대표는 여전히 입을 굳게 닫고 있다. 맞대응은 판을 키워줘 오히려 불필요한 논란만 증폭시킨다는 우려 때문이다. 개헌, 복지정책, 과학벨트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순간 상대의 프레임에 말려들 수밖에 없다. 이른바 진흙탕 싸움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것.실제 박 전 대표는 여권 주류의 개헌 공론화 시도에 맞서 지난 8∼9일 이틀간 열린 한나라당 개헌 의총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 전 대표의 의중을 대변할 것으로 보이던 친박근혜계 의원들 역시 개헌 의총에서 침묵으로 일관했다. 친박 진영 모두 합심해 침묵 전략으로 개헌 공론화 시도를 철저히 무시한 것. 이러한 가운데 박 전 대표는 조용히 세 과시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여야 잠룡들의 공세로 최근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이 다소 하락했다는 분석도 나왔지만 당내 영향력은 가속화되고 있는 것. 지난 11일 본인의 한국형 복지구상을 담은 사회보장기본법 전부개정안 발의에 무려 여야 의원 123명이 서명했다. 특히 당 소속 의원 171명 중 3분의 2선인 114명이 참여했다. 이중 친박계 50여명은 물론 중립파 의원 20명과 친이계 의원 40여명도 이름을 올렸다. 차기 지지율에서 독주하는 박 전 대표의 영향력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일반적 평가다. 김성곤 기자 skzer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