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가정상비약 슈퍼판매 허용해야”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최근 소화제 등 가정상비약 슈퍼판매를 두고 찬반양론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25개 시민단체모임이 일반약 슈퍼판매를 촉구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들은 가정상비약의 슈퍼판매를 허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의약품 분류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건강복지공동회의, 소비자시민모임 등 25개 시민단체가 모인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6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소화제, 해열제, 드링크류 등 가정상비약의 슈퍼판매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중근 상임공동대표는 “현재 시범 실시되고 있는 심야응급약국 운영도 경실련 조사에 따르면, 일반약국의 참여율이 저조한데다 서울ㆍ경기지역에 편중돼 있는 등 실효성이 적다”며 “미국이나 일본, 영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처럼 안정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가정상비약에 대해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하는 법적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연대 측은 현행 법상 가정상비약을 약국에서만 판매토록 규제함으로써 약국이 문을 닫는 주말이나 심야에 국민들이 가정상비약 구입에 큰 불편을 겪고 있어, 관련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이를 위해 현재 의약품을 전문의약품(처방약)과 일반의약품(비처방약) 등 현행 2분류체계를 영국이나 독일처럼 전문약, 약국약, 자유판매약 등 3가지로 나눠야 한다고 주장했다.또 보건복지부 산하 시민단체와 소비자단체, 제약사, 의ㆍ약사관련단체, 공익대표 등이 참여하는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특별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슈퍼판매를 허용할 의약품의 재분류 작업과 판매장소, 광고 등 구체적인 제반사항에 대해 투명하고 공정한 논의를 하자고 제안했다.조 대표는 “일반약 슈퍼판매가 실현되면 안정성이 입증된 가정상비약을 주말이나 심야에도 쉽게 구입할 수 있어 국민 편익이 증대되고, 제약업체 간 가격경쟁으로 약값이 내려가 가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으로 시민연대 측은 가정상비약 슈퍼판매를 관철시키기 위해 대국민 서명운동, 국회입법청원,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제도 개선요구, 대국민 홍보활동 등을 적극 전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한편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는 지난해 말 건강복지공동회의, 소비자시민모임, 바른사회시민회의ㆍ보건의료선진화특위, 건강ㆍ복지사회를여는모임, 건강복지정책연구원, 건강증진실천협의회,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메디칼와이즈멘즈포럼, 민주사회시민단체연합, 숲사랑, 여성이여는미래, 연구소2020통일한국, 의료와사회포럼, 21녹색환경네트워크, 인천에코넷,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좋은책읽기시민운동연합, 좋은학교만들기학부모모임, 준법운동국민연합, 한국복지문제연구소, 한국지속가능기업연구회, 한국발명원, 헌법을생각하는변호사모임, 환경과복지를생각하는시민의모임, 환경문화시민연대 등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에 공감하는 25개 시민단체가 모여 결성됐다.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