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시공사 자본금 1조700억원대로 상향

부채비율 393%에 달해 재정건전성 확보 절실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경기도시공사 부채에 시달리자 또다시 현물출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3일 행정안전부의 지방공사 연도별 부채현황에 따르면 2006년 말 22조3866억원에서 2010년 6월 말 기준 46조1933억원으로 23조8067억원이 증가했다.이 가운데 경기도시공사는 지난해 전체 자산대비 부채비율이 480%로 전국 16개 시.도 도시개발공사 중 1위를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지난 올해 6월말 기준 경기도시공사의 부채는 6조7159억원에 달했다.경기도시공사는 이같은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지난해 말 광교테크노밸리를 통해 4645억원 규모에 달하는 현물출자로 자본금을 확충해 부채비율을 줄였다.경기도시공사의 부채는 3조8000억원으로 줄면서 부채비율도 393%로 줄었다. 이는 수도권 광역단체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SH공사(9조9704억원), 인천도시개발공사(4조2947억원) 등보다 적다.하지만 이 같은 부채비율도 1조원이 넘는 미분양아파트와 미분양산업단지로 인해 경기도시공사로는 부담스런 금액이다. 특히 경기도시공사의 부채비율은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수차례 지적을 받았다. 김태원 국회 행안위 의원은 “공기업의 부채는 지방재정 부담증가도 문제지만 정작 도민들의 혈세가 도민을 위한 사업에 쓰이지 못하게 된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라며 “경기도시공사의 부채중 금융성 부채는 3조 3,247억원으로 어림잡아 월 이자가 100억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보여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이명수 국회 행안위 의원도 “만약 도시공사가 평균 5%로 부채를 차입했다고 가정할 경우, 매월 지출해야 하는 금융이자는 138억원에 달한다. 좀 더 싸게 4%로 빌렸다 할지라도 110억원 정도”라고 설명하면서 경기도시공사의 구체적인 부채 상환 계획 및 재정건전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이에 따라 경기도시공사는 재정건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유지 3곳을 대상으로 3700억원 규모의 현물출자를 검토하고 있다.도시공사가 현물출자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는 부지는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종자관리소 부지 16만5437㎡,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축산위생연구소 부지 83만3722㎡,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도 건설본부 부지 6만3020㎡ 등 3곳 106만2179㎡에 달한다.추정 재산가액은 종자관리소 1470억원, 축산위생연구소 1230억원, 건설본부 980억원 등 모두 3680억원에 달한다.종자관리소는 2012년, 축산위생연구소는 2013년까지 이전예정이다. 그러나 건설본부 부지는 이전계획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도시공사가 이같이 도유지 현물출자를 추진 중인 것은 현재 부채비율(부채/자본)이 393%(2010년 행안부 기준 400% 이하)에 달해 보다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부채비율을 크게 낮춰야 한다.경기도시공사 관계자는 “도시공사의 자본금을 늘려야 하지만 도의 재정사정이 크게 악화된 상태에서 일반회계 전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에 따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도유지 현물출자를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다.한편, 도시공사는 지난해 광교테크노밸리 등 4645억원 규모의 도유지 현물출자를 통해 자본금을 1조3843억원으로 늘렸다.김정수 기자 kj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정수 기자 kj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