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글로벌 시장에서 12억 인구 인도의 목소리가 부쩍 커진 데는 아시아에서 중국의 라이벌로 인식될 정도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게 힘을 발휘한 만모한 싱 총리의 역할이 컸다. 오는 11월 5일부터 9일로 예정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인도 방문에 앞서 미국 언론들은 인도가 동아시아에서 발휘하고 있는 영향력을 높이 평가하며, 인도가 아시아지역의 무역ㆍ 정치ㆍ 안보 협력에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한다고 치켜 세우고 있다. ◆인도경제 고속성장 '열매' 맺은 총리=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옥스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경제학자 출신이다.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UNCTAD),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일한 경험이 있으며 1991년 재무부장관을 거쳐 2004년 총리직에 올랐다. 그는 인도가 외채지불 불능 위기에 처해있던 1991년 재무장관에 임명돼 과감한 개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인도경제를 부흥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과감하게 자국통화인 루피화를 평가절하했고 규제 완화를 통해 해외자본 유치에도 힘썼다. 싱 총리가 지난 2009년 5월 역사상 4번째 연임 총리로 당선되며 차기 내각을 꾸릴 수 있었던 데는 집권 기간 동안 경제전문가로서 발휘했던 리더십이 국민들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 속에서도 12억 인구가 이끄는 인도경제는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며 지난 10년간 평균 7.1% 성장했다. 싱 총리가 재선에 성공한 후 글로벌 증시전문가들은 인도증시의 가파른 상승세를 '싱 랠리'라고 부를 정도로 정치적 안정이 주는 경제적 효과를 부각시켰다. 중도성향의 경제를 잘 아는 싱 총리가 경제개혁에 속도를 내면서 그동안 외국인 투자를 막고 있던 각종 규제들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최근 인도 경제는 글로벌 경제 회복세와 맞물려 더 빠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2분기 인도 경제는 8.8% 성장하며 2년 6개월만에 최고 성장 속도를 냈다. 고성장 인도에 투자하려는 외국인들이 많아지자 주식시장은 최근 5개월 사이에 26% 오를 정도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싱 총리는 세계 각국과의 경제협정 체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5일 싱 총리는 간 나오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과 투자 확대를 위한 경제동반자협정(EPA)에 공식 서명했다. 양국간 EPA 체결로 향후 10년 동안 전체 무역 중 94%에 관세가 철폐됨에 따라 일본과 인도의 교류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싱 총리 재정적자ㆍ인플레이션 문제로 '골치'=만모한 싱 총리는 경제에 정통한 지도자로 국민들의 신임을 받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와 재정적자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인도 경제는 미국, 일본, 중국이 통화전쟁을 벌이고 있는 사이에 외국인들의 자금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루피화의 평가절상 압력을 받고 있다. 루피화 가치는 달러화에 대해 지난 한달간 5% 가량 절상됐고, 이는 그대로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있다. 인도의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6월 -0.71%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올해 9월 현재 8.62%까지 치솟았다. 지난 4월에는 11%까지 껑충뛰기도 했다. 인도 정부는 올해들어 5차례나 금리를 인상하면서 본격적인 물가 억제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은 줄지 않고 있다. 치솟는 물가 때문에 국민들의 반응이 민감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여름 인도 여기저기서 정부의 유류가 인상에 항의하는 야당 주도의 총파업이 끊이지 않은 것은 싱 총리의 고민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싱 총리는 자신의 후임자에게 재정적자를 벗어난 균형잡힌 재정 상태를 물려주는 것이 자신의 목표라고 강조하면서 그동안 휘발유와 가정용 가스에 적용하던 보조금을 폐지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드러낸 바 있다. 글로벌시장에서는 싱 총리가 인플레이션 압력 낮추기를 과연 해낼수 있을지, 이와 동시에 부작용없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재정적자 규모를 줄일 수 있을 지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도정부는 지난 3월로 끝난 회계연도에 국내총생산(GDP)의 6.6% 수준까지 오른 재정적자 규모를 올 회계연도에 5.5%, 다음 회계연도에 4.1%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박선미 기자 psm82@<ⓒ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박선미 기자 psm82@ⓒ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