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重 거제조선소 '우먼파워' 김소현 기사의 하루

새벽 현장직원들과 마찰 조율 한낮 열기와 싸우며 공정체크

김소현 삼성중공업 기사가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현장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처음에는 여자라고 얕보는 사람도 많았다. '조선업'이란 특성상 사실 현장에 여자기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어쩌면 이런 일이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그는 '삼성중공업 김 기사'로 불린다. 올해로 입사 2년차를 맞는 김소현 삼성중공업 해양시운전 1부 기장 시운전1과 기사. 그는 이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70명의 여성 기사 중 한명이다. 남초 작업장인 조선소에 최근 섬세함을 무기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개척자로 불리기도 한다.최근 삼성그룹 블로그 '삼성이야기'에 자신을 소개한 그는 "새벽 5시30분에 일어나 출근 준비에 분주한 아침을 보낸 후 6시30분쯤 출근해 사무실에서 기본 업무만 정리하고, 곧장 현장으로 출발한다. 아침부터 부서간의 업무협조가 맞지 않아 현장 직원들과 마찰이 생겼다. 하루에도 이런 일이 왕왕 생겨 이제는 차질이 없도록 무리없이 진행시키는 게 하루 일과가 돼버렸다"는 말로 조선소 생활이 결코 쉽지 않음을 전하고 있다.여자라는 점 때문에 외면당하던 시절도 있었다. "업무 지시를 내리거나 부탁을 해도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고, 때로는 못 들은 척하며 자기업무에만 열중했다"면서도 하지만 지금은 "동료로서, 때로는 여동생처럼, 연세가 있으신 분은 딸처럼 아껴 준다. 이제는 사소한 부탁도 성심 성의껏 도와주고,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주기도 한다"며 직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김 기사가 하는 일은 배가 무사히 선주에게 갈 수 있도록 모든 공정을 관리, 감독하는 것으로 지금은 삼성중공업이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드릴십(Drill ship)'을 담당하고 있다.드릴십은 움직이는 석유시추선으로, 해상 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깊은 수심의 해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작업하기 어려울 때 원유시추를 가능하게 하는 배다. 일반 컨테이너선이 700억원 정도라면 드릴십의 가격은 3000억원에 이른다.30도를 넘는 무더운 여름에도 하루에 몇 번씩이나 20여m를 오르락내리락 하기도 하고 때로는 현장 작업자와 함께 샤클(크레인으로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고리가 달려 있는 연결기구)를 채우기도 한단다. "거친 남자들의 세계다 보니 나 자신도 거칠어지는 건 아닌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자신이 좋아서 하는 일이고, 남자들에게서 뒤질 수 없다는 오기도 더욱 열심히 일에 매달린단다.자신의 손을 거쳐 작업이 마무리돼 선주의 손으로 배를 넘겨줄 수 있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는 김 기사는 "언제라도 전장으로 달려가는 '장수'처럼 현장으로 달려갈 것"이라며 각오를 다진다.채명석 기자 oricm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채명석 기자 oricm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