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6.2 지방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천안함 정국이 길어지면서 몸을 사렸던 여야는 5월 시작과 함께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번 지방선거는 특히 이명박 정부 임기 중반에 치러진다는 점에서 하반기 정국 주도권 장악은 물론 차기 대선을 앞두고 전국 단위 민심의 향방도 확인해볼 수 있다.
◆여야 총력전 체제...지방권력 '수성 vs 탈환'여야는 3일을 기점으로 지방선거 총력전 체제에 돌입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6명, 기초단체장 228명, 광역의원 761명, 기초의원 2천888명, 교육감 16명, 교육의원 82명 등 총 3991명의 일꾼을 선출한다. 여야는 서울시장 후보 선출 등 16개 광역단체장 공천을 마무리한 뒤 이르면 이번 주 안으로 선대위 체제를 공식 발족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를 '경제회생 미래세력 vs 경제발목 과거세력'의 대결구도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선거패배는 이명박 대통령의 조기 레임덕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지방권력 수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지방선거 슬로건을 '못살겠다 갈아보자'로 결정하고 정권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웠다. 현 정부의 총체적 난맥상을 부각시켜 이명박 정부의 독선과 오만을 집중적으로 따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군소정당들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는데 선진당은 대전시장과 충남지사, 민노당은 울산시장 선거전의 승리를 노리고 있다.
◆수도권·충청권 승부가 최대 관심...영호남은 독식구도6월 지방선거 최대 관심은 역시 수도권이다. 영호남은 각각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정치적 텃밭인 만큼 이변이 없는 한 일방적인 승리가 예상된다.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충청권 선거는 혼전 양상이다. 여야가 사활을 거는 지역은 수도권이다. 서울을 포함해 2대 1 이상의 승리를 거둘 경우 정국 주도권을 장악한다. 현 구도는 오세훈, 김문수, 안상수 등 현역단체장을 보유한 한나라당이 앞서가고 있지만 메가톤급 이슈들이 적지 않아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예측불허의 혼전이 예상된다. 이어 세종시 수정론의 영향권 아래 놓인 충청권 선거는 한나라당, 민주당, 자유선진당의 3파전 구도다. 만약 한나라당이 대전, 충남, 충북 등에서 전패할 경우 세종시 수정론은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게 된다. 이밖에 강원은 이계진 한나라당, 이광재 민주당 후보의 2파전이, 제주도는 현명관(한나라), 고희범(민주), 우근민(무소속) 후보의 3파전이 진행 중이다.
◆천안함, 노무현, 4대강 등 선거쟁점 수두룩한 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가 예측불허의 판세를 보이는 것은 선거판을 뒤흔들 수 있는 이슈와 쟁점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우선 천안함 침몰 원인 규명에 따라 선거판은 격랑 속으로 빠져든다. 북한 연루설이 사실이면 그 파장은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한나라당은 보수층 결집을 기대하고 있고 민주당은 북풍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반면 침몰 원인이 내부결함이라면 정반대의 결과가 예상된다. 또한 오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를 맞아 반(反)이명박 성향의 야권표가 어느 정도 결집할 수 있을 지도 관심사다. 이어 4대강 사업도 주요 변수다. 한나라당은 야권과 종교계의 반대에 맞서 홍수방지와 수질개선 효과를 내세우며 제2의 청계천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여권의 4대강 속도전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거의 없고 교육, 복지분야 예산의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아울러 김진표 민주당 후보와 유시민 국민참여당 후보의 경기지사 후보 단일화 여부와 함께 한명숙(서울), 유시민(경기), 안희정(충남), 이광재(강원), 김두관(경남) 등 지난 대선을 거치며 사실상 소멸했던 친노세력이 정치적으로 부활할 수 있을 지도 관심사다. 이밖에 무상급식 찬반과 '스폰서 검사' 논란은 물론 전교조 소속 교원명단 공개 문제 등도 주요 변수도 작용할 전망이다. 김성곤 기자 skzer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