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대규모 정부조달 비축기지 들어선다

부산시 강서구 신호동 화전산업단지에 8만여㎡ 규모로 만들어 고철 등 비축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부산에 대규모 정부조달용품 비축기지가 들어선다.조달청은 1일 부산시 강서구 신호동 화전산업단지에 8만2965㎡ 규모의 비축기지를 올 5월말까지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지엔 4814㎡의 창고와 5만3822㎡의 야적장이 생긴다.이곳엔 알루미늄, 구리, 연, 아연, 등 비철금속과 니켈, 페로실리콘, 망간, 리튬 등 희소금속을 비축한다. 특히 많은 제강업체들이 부산·영남 쪽에 있어 철근파동으로부터 철강산업을 보호키 위한 고철비축기지로도 쓰인다.부산은 국내산업메카로 알루미늄, 구리 등 원자재 수요가 많고 항만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 외국서 원자재를 들여와 보관하기 쉽다.조달청은 느는 원자재 비축물자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국제원자재시장 변동 등 주변 환경에 적극 대처키 위해 비축기지기능 재정립과 재배치를 내용으로 하는 중장기운영계획을 세운 바 있다. 전략적 비축기지 운영계획에 따라 전국에 있는 7개 중추비축기지는 대형기지와 소형기지로 나뉜다.대형기지는 주요 항만과 산업체들이 몰려 있는 부산(영남), 군산(호남·충청), 인천(수도권) 3개에 설치해 상시방출량과 일정수준의 안전재고량을 보관·관리하는 중추기지로 운영된다. 또 소형기지는 대구, 광주, 대전, 창원 등 4개의 기지를 이용해 해당지역 중소기업 수요와 비상대비를 위한 전진기지로 쓰인다.비축기지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기지는 용도취소, 매각 등으로 정리해 비축기지 활용율과 운영효율을 꾀한다.조달청은 2012년까지 비축재고량을 수입수요의 60일분까지 단계적으로 늘리는 등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민관이 함께 비축하는 ‘민관공동비축제’도 올해 중 시범실시하는 등 원자재비축 규모확대를 추진해오고 있다.한편 권태균 조달청장은 이날 오후 부산비축기지신축현장을 찾아 “부산비축기지는 면적이 넓고 항구와 가까워 해외원자재 수입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권 청장은 “부산은 물론 포항, 울산 등 주요 산업단지와 가깝다”면서 “부산비축기지 신축공사가 끝나면 원자재비축과 중소기업에 대한 원자재공급의 요충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