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방통위원장 탄핵안 발의…"내달 3일∼4일 중 표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27일 김홍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면서 다음 달 3~4일 중 표결하겠다고 밝혔다.


野 방통위원장 탄핵안 발의…"내달 3일∼4일 중 표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야당이 탄핵안 발의를 서두른 것은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선임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방문진 이사 임기는 오는 8월12일로 만료되며 같은 달 31일 KBS 이사회, 9월14일 EBS 이사회 임기가 끝난다.


공영방송 이사 선임은 통상 임기에 맞춰 이뤄져 왔으나 현재로서는 야당이 방통위 2인 체제에서 방문진 등 이사회 구조를 여당에 유리하게 재편하는 것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무난한 처리는 어려울 전망이다.


후임자가 임명되지 않는다면 기존 이사들이 지위를 유지, 야권 추천 권태선 이사장 체제를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민주당도 다시 또 방통위원장 탄핵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방문진 이사 임기 만료 전 새 이사를 선임하려면 늦어도 다음 달 초·중순에는 관련 절차에 돌입해야 하는데, 야당이 탄핵안을 이미 발의했기 때문에 표결 전 의결하려면 조만간 전체회의에 방문진 이사 선임 안건을 상정해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과 이상인 부위원장 2인 체제에서 YTN 최대 주주 변경과 지상파 재허가 등 굵직한 안건들이 이미 의결된 바 있다.


야권에서는 2인 체제 의결의 위법성을 주장하지만, 방통위는 법률 자문 등을 통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위법은 아니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방문진 이사 선임 후 탄핵안 표결이 되면 방통위는 1인 체제가 돼 또다시 업무정지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고민하는 모습이다.


방통위는 이미 지난해부터 TV조선 재승인 심사 점수 조작 의혹으로 인한 수사 및 한상혁 전 위원장 해임, 이동관 전 위원장 취임과 사퇴 등으로 장기간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약 10개월간 1·2인 체제가 이어졌다.


방통위는 구조적으로 정치권 영향을 많이 받는데, 특히 공영방송 관련 문제를 다룰 때 더욱 민감해진다.


일련의 부침도 여권이 추진하는 공영방송 구조 재편 과정에서 발생했다. KBS 경영진 교체, 공영방송은 아니지만 YTN 민영화, 그리고 교체 시기가 다가온 방문진 이사 교체 등 국면에서 매번 정치적 갈등이 일어났다.



방통위는 이날 야당의 탄핵안 발의 후 공영방송 이사 선임 일정 및 김 위원장 탄핵·사퇴 등에 대한 공식 입장은 아직 내지 않았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