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업종 '다시 투자다'

R&D 등 통큰 투자로 글로벌 '그린 비즈니스' 주도한다삼성 26조·LG 15조 투입 세계시장 공략친환경·신재생에너지 분야등 집중 육성[아시아경제 김정민 기자, 황상욱 기자] 기업들이 새로운 출발선 위에 섰다. 글로벌 경제위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금고에 현금을 쟁여가며 숨죽인채 위기의 파고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던 주요 기업들은 세계 경제가 터널을 지나 회생의 기지개를 펴자 공격적 투자를 재개하고 있다. 특히 삼성이 올해 국내외에서 26조5000억원을, LG가 15조원을 설비와 연구개발(R&D)에 투자하기로 하는 등 상대적으로 불황에 따른 타격이 적었던 전기·전자 업종의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반도체·전기전자 '공격 앞으로' 기업들이 돈주머니를 풀고 있다. 1년 넘게 계속된 경제난으로 아직 선진 기업들이 투자여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과감한 투자를 통해 격차를 좁혀나가겠다는 전략이다.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한 600대 기업의 올해 예상 투자 규모는 지난해보다 무려 16.9%가 증가한 103조191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반도체가 생산라인 증설, 주요 거래선의 요구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100%,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시장 확대, 중국 3G 휴대폰 수요 확대 등으로 52.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기업금고에는 현금이 넘칠 만큼 쌓여 금융비용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빚쟁이' 투자는 예년보다 확연히 줄어들 전망이다.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하이닉스 등 주요 15개 대기업이 쌓아놓은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42조원이나 된다. 특히 호조를 보인 수출 덕에 반도체·전기전자 업종의 투자여력은 어느 때보다 넉넉하다. 삼성전자의 현금성자산은 지난해말 현재 12조4000억원으로 2008년 말의 6조6000억원에 비해 5조8000억원(87.88%)이나 늘었다. LG전자는 2조1268억원의 현금을 쌓아놓고 있고 2년 넘게 반도체 불황으로 악전고투를 벌였던 하이닉스도 1조3290억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그린 비지니스' 대세로 투자확대에 나선 기업들의 주요 투자처중 하나가 친환경·신재생 에너지다.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예년에 비하면 확연히 늘었다. 하나의 흐름을 넘어 기업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양상이다. 인력 채용 또한 녹색성장 관련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말 울산항에 세계 최초로 친환경 LED 조명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친환경 사업분야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 지난 2005년부터 이미 기후변화규제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인벤토를 구축, 오는 2011년까지 온실가스를 10만t 이상 줄인다는 계획이다. 또 최근에는 대부분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인 MLCC 업계 최초로 친환경 인증을 받아 화제가 됐다. LG이노텍은 올해 저전력·친환경 사업인 LED 분야에 투자를 대폭 확충키로 했다. 지난해 4000억원에 이어 올해 8000억원의 신규투자가 예정돼 있다. LG이노텍은 지난해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를 비롯해 에너지관리공단 호남지역에너지기후변화센터, 상무시민공원, 광주광역시청 지하주차장 등에 LED조명 4400여 개 규모의 건축물 시범 조성사업을 완료하는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LED조명 사업을 육성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SDI는 친환경 에너지기업으로 변신에 성공한데 이어 2차 전지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8월, BMW의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의 단독 공급업체로 선정된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세계적 자동차부품 회사인 델파이에 하이브리드 상용차용 리튬이온 전지를 단독 공급하는 계약을 따내기도 했다. 삼성테크윈은 지난해 녹색경영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한데 이어 협력회사, 제조사업장, 제품사용, 판매, 폐기에 걸친 제품제조 전 과정의 온실가스를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모든 제품을 녹색 친환경 제품으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아래 에너지 효율을 30% 항상시키고 유해물질 제거 및 재활용 우수 제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의 환경 규제가 점차 심화되면서 친환경 제품 외에는 규제장벽을 넘어서기가 힘들어지고 있다"며 "친환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말했다.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황상욱 기자 ooc@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산업부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