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13개월째 기준금리를 2.0%로 동결시킬지 결과가 주목된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오는 11일 금통위는 이성태 한은 총재의 임기만료를 앞둔 마지막 금리결정 회의다. 저금리에 따른 부작용과 가계부채 문제 등 금리인상론도 만만치 않지만 대내외적인 여건은 이번에도 금리동결쪽에 더 무게가 실린다. 올해는 경기상승 모멘텀이 점차 약화되는 '상고하저'형 경제성장이 예상된다. 상승국면을 이어갈 경기회복의 기초체력이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의 금리인상이 가져올 부작용도 근심거리다.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도 금리인상에 부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경기선행지수는 1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월과 비교해 생산이 제자리걸음을 해 경기회복세가 꽃을 피우기도 전에 둔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지수가 처음 하락세를 나타냈다고 경기하강국면이라고 속단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무엇보다도 지금은 성장세가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등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자생적 경제성장세를 확인하기까지는 아직 2~3개월 정도가 더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경제성장세가 안정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될 때 금리를 인상하는 게 합당하다는 분석이다. 물가상승 압력이나 고용불안도 요인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경기가 상반기 정점을 찍고 하강할 가능성이 있고 하반기에는 물가하락 압력도 낮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각각 재할인율과 지급준비율을 올려 출구전략을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있지만 하반기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현석원 현대경제연구소 금융경제실장도 "아직까지 경기가 본격 회복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5월 정도까지 경제회복속도를 지켜본 후 금리인상에 나서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