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메신저]KRX 부서장 직원선택제도입 개인 경력관리 '발목' 잡히나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손님 숟가락 놓는 직원은 영원히 숟가락만 놓으란 말입니까?" 한국거래소(KRX) 대외 유관기관 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한 부서의 직원은 이번 인사시스템에 최초로 도입된 부서장 직원선택제(드레프트제)가 자칫 개인 경력은 고려하지 않은 반쪽자리 제도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드레프트제는 소속 부서장이 함께 일할 직원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인사 시스템이다. 그는 "가고 싶은 부서가 있어도 현 부서에서 열심히 하면 인정받아 남을 가능성이 높아 걱정되고 그렇다고 대충하면 퇴출당할까 두렵다"는 말도 곁들였다. 경영지원본부의 다른 한 직원은 "입사 이래 수년간 의전과 관련된 현 부서 업무만을 담당해왔다"며 "한국거래소 핵심 업무인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업무를 맡고 싶어도 이제는 사실상 어렵게 된 것 아니냐"고 걱정했다. 현 업무의 적임자로 인정받고 있어 부서장이 옮길때 마다 안정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붙들어둘 가능성이 커 결국 자신의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우려다.  이번 팀원급 인사 과정에서 이런 하소연이 입증된 사례도 있다. 경영지원본부 한 부서의 경우 부장과 팀장이 한꺼번에 타 부서로 자리를 옮기면서 정작 팀원들은 전원 자리를 지켜야했다. 타부서에서 새로 부장과 팀장이 왔기에 업무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팀원들이 자리를 지킬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 부서 한 직원은 "드레프트제가 윗선은 변하지않고 아랫선만 제자리에서 맴도는 '회전문 인사'라는 비난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달리 표현하면 조직의 활기를 떨어뜨리고 직원들의 근무욕구를 저하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드레프트제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임금체계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행 호봉제로서는 문제가 많은 만큼 성과에 따라 차등보수가 지급되는 연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 시장본부 한 직원은 "회사의 목적에 맞게 본인의 경력 관리를 배제하고 업무에 임한다고 할지라도 업무 성과에 대한 보상 체계는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며 "연봉제 등 실질적인 보상 체계 도입을 통해 드레프트제에 맞는 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정책에는 반드시 부작용 따르게 마련이다.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도입된 드레프트제가 착근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제도보완과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