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또 하나의 전봇대' 펀드가입 절차

[아시아경제신문 김현정 기자] "펀드에 대한 기초 지식과 투자 성향을 점검하기위한 확인서를 작성해주세요(직원)" "저 펀드 매니저인데요(펀드매니저)" "고객님, 그래도 해주셔야 합니다(직원)" 최근 한 펀드매니저가 전해준 경험담이다. 펀드 가입을 위해 한 증권사 창구를 찾은 그는 '가입 전에 반드시 해야 한다'는 직원의 설명과 함께 100페이지가 넘는 관련 서류를 건네받았다. 누구보다 펀드 상품을 잘 이해하고 있는 그지만 직원의 끈질긴 권유에 결국 1시간 가까운 시간을 들여 확인서들을 작성해야만 했다. 창구 직원은 임의로 이 과정을 생략한 것이 발각되면 직원평가에서 큰 불이익을 당한다며 읍소를 하기도 했다. 펀드가입을 할 경우 누구라도 예외 없이 투자성향정보확인서나 투자자확인서 등 총 6단계의 확인서를 작성해야 한다. 펀드매니저라고 예외는 아니다.사실 펀드가입 절차가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복잡하다는 지적은 자본시장법이 시행되고 나서부터 끊임없이 제기됐었다. 투자자 보호 강화 차원이라고 하지만 누구나 번거롭고 불편해하고 있다.문제는 개선에 대한 필요성은 인가하고 있지만 별다른 대안이 지금껏 나오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금융당국에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운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다.투자자들 역시 번거로운 절차를 과감히 생략할 수 있는 온라인 펀드로 몰리고 있다. 투자자를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 오히려 불완전판매의 위험성을 높이고 있는 셈이다. 투자 성향과 목적이 분명한 가입자에게 필요한 것은 가입하려는 펀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과 각종 변수에 대한 정보다.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펀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함께 본인에게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원금손실'의 위험성을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투자자의 유형과 투자 목적, 투자 규모에 맞도록 가입 절차를 조정하는 유연성과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