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교사, 중학 중퇴자까지 고용

[중앙일보 박수련] 경기도 D여고의 김모 교무부장은 올 7, 8월 학습보조 인턴교사를 구하느라 애를 먹었다. ‘9월부터 4개월간 일할 인턴교사를 구하라’는 도교육청의 공문을 받은 뒤 학교 홈페이지에 채용 공고를 냈지만 5명 모집에 지원자는 5명에 불과했다. 그나마 4년제 대학 졸업자는 1명뿐이었고 4명은 고교나 전문대 졸업자였다. 김 부장은 “하는 수 없이 지원한 5명을 모두 채용해 야간 자율학습 감독 업무를 맡기고 있다”고 말했다.청년실업 해소 대책으로 교육과학기술부가 올 9월 도입한 ‘학습보조 인턴교사제’가 예산만 까먹는 졸속행정이란 지적이 일고 있다. 전국 초·중·고교 8700여 곳에 투입된 인턴교사 1만6250명 중 상당수가 ‘행정 잡무 도우미’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학교들은 인턴교사를 구하기 어렵자 40~60대를 뽑거나 중학교 중퇴자까지 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턴교사들에게는 월 120만원씩 모두 780억원이 지원됐다.◆교사자격증 소지자 46%뿐=13일 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공개한 인턴교사 현황 조사에 따르면 전체 1만6250명 중 교원자격증 소지자는 46%에 불과했다. 교과부는 올 2월 학습 부진아가 많은 학교에 인턴교사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할 때 ‘교원자격증 소지자나 석사 학위 이상 가진 자’로 자격을 제한했다.그러나 학교들이 구인난을 겪자 7월에 기준을 낮췄다. 서울 등 대도시에선 방과후 학교 강사들을 인턴교사로 돌려 막았다. 일부 지방 학교는 학원강사 스카우트에 나서기도 했다. 경기도 시흥시 J중학교는 영어·수학 수준별 이동수업을 맡길 인턴교사로 학원강사 출신 3명과 개인 과외 교습자 1명을 뽑았다. 이모 교무부장은 “정부가 돈을 주기 때문에 무조건 뽑을 수밖에 없었는데 예비교사는 고사하고 퇴직교사도 구하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교사 자격증이 없는 이들이 정규수업의 수준별 강의를 맡자 학부모들의 항의도 빗발쳤다.◆학력 기준도 없었다=경기도 K중학교는 최종 학력이 ‘중학교 퇴학’인 20대 인턴교사가 행정업무를 돕거나 방과후 학교 출석을 관리하고 있다. 엄모 교장은 “임금 120만원짜리 비정규직에 취업하러 교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오겠느냐”며 “교사들 잡무 처리를 덜어 주니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충남 Y고교 이모 교사는 “이들에게 시킬 잡무도 없을 때는 빈 교실에서 대기시키고 있다”며 “기대했던 학생 지도를 못 하니 무슨 일을 시켜야 할지 난감하다”고 말했다.안민석 의원에 따르면 전체 인턴교사 중 20대는 41%였고, 40~60대의 중장년층이 26%나 됐다. 40대 이상 중에는 가정주부나 학원강사, 퇴직 교원 등이 많았다.교과부 나향욱 교직발전기획과장은 “갑자기 대규모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워 빚어진 일”이라며 “내년 1월까지 인턴교사제의 효과를 분석해 지원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수련 기자▶박수련 기자의 블로그 //blog.joins.com/africasun/

중앙일보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