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갈등 '내우외환'

체코·인도 등 주요 해외 생산기지 파업 경고음새 노조 집행부 글로벌조합 연대 강화도 착수[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현대자동차의 글로벌 노무관리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주요 해외 생산기지에서 파업 경고음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노조 새 집행부가 글로벌 조합원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본격 착수하고 나섰기 때문이다.이는 최근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법안이 유명무실화되는 추세에 있는 등 국내 노사관계의 틀이 뒷걸음치는 상황에서 설상가상 격으로 경영진을 곤혹스럽게 할 전망이다.10일 현대차에 따르면 이 회사 노조는 최근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해외공장 대책위원회 구성원을 25명이나 추가 구성하는 등 조직 규모를 대폭 늘렸다. 이는 조합원의 첨예한 이해관계를 대변할 비정규직 특별위원회(21명), 물량대책 공동위원회(18명) 전체 대의원 수 보다도 많은 것으로 국내공장 완성차 생산량을 추월한 글로벌 생산기지의 노조와의 연대를 구체화하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현대차지부 모 관계자는 "해외공장 근로자들이 열악한 근무환경 속에 과중한 업무에 내몰리고 있다"며 "해외 공장의 근로 조건을 보다 면밀하게 살피고, 이들의 복지를 개선시키도록 노력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전했다.이는 올들어 뚜렷해지고 있는 현대차 해외공장 근로자의 강성 기류와 맞물려 내년 이 회사 노사관계 전반을 흔들 수 있는 뇌관이 될 전망이다.실제로 이달 초 현대차 체코법인 노조는 사측이 무리한 오버타임을 강요하고 있다며 전면 파업을 경고하고 나섰고, 인도 첸나이공장 노조도 복수노조 인정과 해고자 복직을 요구하면서 올해 세번째 부분 파업에 들어가기도 했다. 터키 이즈미츠 공장에서도 공장가동률 개선책을 요구하면서 사측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사측에서는 이번 노조의 조치가 국내 공장의 일감 보호를 위한 투쟁 동력 확보 차원에서 이뤄졌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실제로 지난해 인도에서 생산하는 소형세단 i10의 국내 수입을 반대한데 이어 지난달에는 정몽구 회장의 중국공장 증설 검토 발언에 "선 합의 없이는 불가" 입장을 고수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현대차 관계자는 이에 대해 "올해 2월 창설된 글로벌 노조 연대의 활동이 가시화된 이후 해외 생산기지 노무 관리가 꼬여가는 느낌"이라며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문제도 비우호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등 국내도 생산적인 노사관계 정립이 요원한 터라 답답하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한편, 최근 노사정위원회가 도출해 낸 근로시간 면제제도 이른바 '타임오프제'가 도입 전부터 취지에서 벗어날 움직임을 보이면서 재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한나라당이 노동조합과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에 통상적인 노조 업무를 하는 경우에도 전임자에게 임금을 주도록 규정을 추가해 국회에 제출했는 데 이럴 경우 노조 전임자가 사측이 동의하면 지금과 마찬가지로 노조 전임 활동을 할 수 있고, 임금을 받으면서 상급 단체 파견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