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친노 '검찰, 유력후보 표적수사' 강력 반발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민주당과 친노진영이 4일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설에 보도되자 일제히 '검찰의 정치보복·표적수사'로 규정하고 법적대응을 밝히는 등 강력 반발했다. 당 내에서는 이번 사건을 고리로 검찰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민주당은 한 전 총리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라는 점에서 지방선거를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또 최근 여권 실세로 수사가 확대되고 있는 한상률 전 국세청장 관련 사건을 물타기하는 전형적인 표적수사라는 주장이다.민주당 관계자는 "한 전 총리는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오세훈 서울시장과 여론조사에서 근소한 차이로 나타나 차기 경쟁력을 확인한 상태"라며 "구체적인 수사내용 없이 실명이 거론된 것은 모종의 물타기 수법이라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한 전 총리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저는 양심에 거리낄 것이 아무 것도 없다"면서 "진실이 저와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한 전 총리는 또 해당 보도에 대한 반론권을 요구하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 월요일에 법률적 책임을 묻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그렇게 정치보복성 수사를 통해서 국민의 원성을 샀던 검찰이 근거 없는 사실을 물타기용으로 흘리면서 제1야당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 중 한 분을 흠집내기용으로 언론에 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친노진영도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이해찬 전 총리는 "노 전 대통령이 돌아가신 지 불과 6개월 남짓 밖에 안됐는데, 또다시 이런 행위가 벌어진다면 절대로 용납하지 않겠다"며 "옛날에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도 안 섰던 악랄하고 교활한 정치공작"이라고 주장했다.유시민 전 장관도 "한 전 총리가 최근 국민의 호감도가 많이 상승한 상황"이라고 언급한 뒤 "노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아넣었을 때와 동일한 동기와 방식에 의해 정치공작을 시작한 것"이라고 지적했다.당내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에 검찰 개혁의 고삐를 바짝 쥐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김희철 민주당 의원은 경찰의 수사권 독립을 내용으로 한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개정안은 경찰을 1차적 수사주체로 하고, 검사는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스스로 수사를 할 수 있는 2차적 주체로 명문화 했다.현행 검사와 경찰의 관계를 상하관계로 규정하고 있는 것과 달리 경찰의 독립성을 상당부분 인정한 것으로 지난 17대 국회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 논의가 검찰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김달중 기자 d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