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까지 전국 30분내로 환자 이송시간 단축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2012년에는 전국 어디에서나 환자 이송시간이 30분 내로 단축돼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예방가능한 응급환자 사망률을 현재 33%에서 2012년까지 25%로 낮추는 것을 주요 목표로 총 6000억원을 투입하는 3개년 응급의료 선진화 추진계획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먼저 복지부는 응급환자 발생시 전국 어디서나 30분 내에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취약지를 전면 해소할 계획이다. 총 1187억원을 투입해 환자 이송시간이 30분 이상 걸리는 전국 175개 읍·면 지역에 119구급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일부 낙도·오지 지역은 253억원을 들여 헬기나 경비정으로 환자이송 중에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의 헬기·선박에 응급의료 장비를 보강키로 했다. 경기 가평군, 전남 함평, 강원 고성 등 응급의료기관이 없는 43개 군 지역에는 재정지원을 통해 의료기관을 짓고, 상급 응급의료센터가 없거나 부족한 경기 포천, 경남 진주 등 6개 진료권에도 응급의료센터를 설치할 방침이다. 또한 응급의료기관의 질적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760억원을 투입해 현재 71%에 불과한 전문의 인력 충족률을 2012년까지 10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 현재 시설·장비 등 하드웨어 중심의 의료기관 평가를 내년부터는 전문의 진료, 치료신속성 등 질적 평가로 전환하고, 평가결과를 인터넷·언론 등에 공개할 방침이다. 또 인력 등 법적 요건을 충족한 응급의료기관에는 1~3억원의 기본보조를 실시하고, 신속성·소생률 등 진료의 질적 수준이 높은 상위 50%는 차등지원(1등급 10%, 2등급 15%, 3등급 25%으로 5000만∼2억원 지원)을 통해 응급진료 질 향상을 유도할 계획이다. 그러나 인력 등 기본요건을 갖추지 못한 응급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일체의 지원을 배제하고, 응급의료기관 지정권이 있는 해당 시·도에 대해서도 재정지원 규모를 삭감하는 등 패널티를 부여할 예정이다.복지부는 아울러 추락 및 교통사고로 인한 고도 중증 외상환자에 대해 병원도착 즉시 수술가능한 광역거점별 외상센터를 전국에 3∼5개곳 짓고, 도착 이후 1시간내 수술가능한 지역외상센터도 20∼30곳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독극물 정보센터 설치 ▲심뇌혈관 응급센터 확충 ▲미숙아 집중치료실 확충 ▲119구급차 장비보강 ▲119 상황실 자문의사 배치 ▲공공기관에 자동제세동기 설치 확대 ▲ 응급처치 교육 확대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 소요되는 재원은 3년간 6000억원으로 응급의료기금을 통해 조달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의료 선진화 계획을 통해 국가 응급의료체계가 한 단계 발전할 것"이라며 "계획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지자체의 응급의료정책 수립을 유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