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SW기업 다쏘시스템, R&D센터 대구에 설립

프랑스 글로벌 소프트웨어(SW) 기업 다쏘시스템의 R&D센터가 대구 경북경제자유구역 내에 설립된다.3D PLM(제품수명주기,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솔루션 기업인 다쏘시스템(회장 버나드 샬레)은 대구광역시(시장 김범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청장 박인철)과 오는 21일 R&D센터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17일 밝혔다.국내 조선 산업과 3D 콘텐츠 개발 및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될 다쏘시스템 R&D센터는 오는 12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국제문화산업지구(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내에 공식 오픈할 예정이다.다쏘시스템은 미국에 있던 조선 R&D 센터를 대구로 이전하는 이유로 ▲한국이 조선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인 점 ▲대구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고급 R&D인력이 풍부한 점 ▲인근 울산, 거제, 부산 등에 조선회사가 입지하고 있는 점 등을 꼽았다.다쏘시스템 관계자는 "솔루션의 현지화, 한글화 등 제한된 연구 활동을 하는 기존 글로벌 기업의 국내 R&D센터와는 달리 핵심 R&D 인력을 배치해 기술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라며 "대구·경북 지역 기업체 및 대학들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역사회와도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450억원이 투자될 예정인 다쏘시스템 조선 R&D 센터는 30여 명의 전문 연구진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다쏘시스템은 센터의 일부 연구 인력은 지역에서 채용할 예정이며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턴십 제도를 운영해 조선 IT 기술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다쏘시스템은 3D 콘텐츠 기반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대구 지역 120여 개의 기업들과 협력해 3D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공동개발 프로젝트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조선 R&D 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다쏘시스템은 '펀텐츠(Funtents)' 분야를 비롯해 의료기기, 제약, 바이오인포메틱스, 에너지 부분에서도 대구·경북 지역 관련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펀텐츠'는 펀(Fun)과 콘텐츠(Contents)의 합성어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재미있고 유익한 디지털 콘텐츠를 뜻한다. 다쏘시스템에 따르면 교육용게임콘텐츠, 의료디지털콘텐츠, 의료융합콘텐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김범일 대구시장은 "이번 다쏘시스템 R&D센터 유치가 영남권 R&D 중심지로서 대구의 브랜드 가치 상승은 물론 글로벌 기업 유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박인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청장은 "다쏘시스템은 전세계 10만 여개의 글로벌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어 향후 다쏘시스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글로벌 기업 유치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조영빈 다쏘시스템 사장은 "다쏘시스템은 글로벌 조선 산업을 이끌어가는 한국에서 유수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R&D 센터를 대구에 개소하기로 했다"며 "대구광역시 및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협력해, 조선 R&D 센터를 시작으로 3D 콘텐츠 산업 지원과 의료 및 에너지 분야 지원을 한국 내에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다쏘시스템은 3D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기획에서부터 설계, 생산, 판매, 관리,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적용되는 PLM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PLM(제품수명주기 관리)은 제품의 수명 전체에 걸쳐 산출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각 부문간 실시간 공유를 통해 협업을 지원하는 IT솔루션이다. 다쏘시스템은 해외에서 BMW, 벤츠, 다임러 크라이슬러, 보잉, 에어버스, P&G, 아디다스, 게스, 구찌 등에 솔루션을 공급했고, 국내에서도 현대자동차, 두산인프라코어, STX조선, LG전자, KT&G, 웅진코웨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3D PLM 솔루션을 공급한 바 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