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신규 취업자 줄었지만 '최악의 상황'은 지난듯'
7월 신규 취업자 수가 한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통계청이 12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취업자 수는 2382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7만6000명(-0.3%) 줄어들었다.
2009년 7월 고용동향 (자료: 통계청)
신규 취업자 수는 지난해 8월 15만9000명, 9월 11만2000명, 10월 9만7000명, 11월 7만8000명 등으로 증가폭이 줄어들다가 12월 -1만2000명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됐으며, 올 1월엔 -10만3000명, 2월 -14만2000명, 3월 -19만5000명, 4월 -18만8000명, 5월 -21만9000명 등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다 6월엔 4000명 증가한 바 있다.정인숙 통계청 고용통계팀장은 7월 신규 취업자 수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데 대해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이 6월의 15만7000명에서 17만3000명으로 커진데다, 도소매·음식숙박업에서도 여전히 취업자 감소를 보이고 있다”면서 “특히 7월의 (고용동향) 조사 기간 중 기상 악화로 비가 많이 와 건설업에서 일용근로자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가 컸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7월 실업자는 92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5만9000명(20.6%) 늘었고, 취업인구 비율인 고용률도 59.4%로 같은 기간 0.9%포인트 떨어졌다. 실업률은 3.7%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0.6%포인트 올랐지만, 6월의 3.9%에 비해선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정 팀장은 "6월의 경우 구직활동자 중 '희망근로프로젝트' 신청자 중 선정이 안 된 사람들이 실업자로 조사돼 실업률이 높았다"면서 "1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선 그런 특이요인이 사라졌기 때문이 실업률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청년층 실업률은 1년 전에 비해 1.1%포인트 상승한 8.5%를 기록했다.연령대별 취업자 수는 15~19세(-1만7000명), 20~29세(-9만5000명), 30~39세(-20만2000명), 40~49세(-4만2000명) 등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50~59세와 60세 이상에서 각각 19만3000명, 8만7000명 증가했다.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6만9000명)에선 취업자가 늘어났고, 제조업(-17만3000명), 도소매·음식숙박업(-16만5000명), 건설업(-12만7000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5만5000명), 농림어업(-2만2000명) 등 다른 업종에선 그 수가 줄었다. 임금근로자는 1658만9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2만6000명(1.4%) 늘었지만, 비임금근로자는 같은 기간 30만2000명(-4.0%) 감소한 723만9000명으로 집계됐다.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전년 동월에 비해 32만9000명(3.6%), 임시근로자는 9만2000명(1.8%) 각각 증가한 반면, 일용근로자는 19만5000명(-9.1%) 감소했다.실업률 통계에 잡히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1536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2만명(2.8%) 늘었다. 이 중 구직단념자는 17만2000명으로 같은 기간 5만2000명(42.8%) 증가했다. 취업을 목적으로 학원수강 등을 하는 취업준비자는 62만5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만5000명 늘었다.한편 정 팀장은 향후 고용동향 추이에 대해선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경제성장률 등 우리나라의 경기 회복 속도와 많은 관련이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기 회복은 세계 경제의 추세와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지금 그 방향을 얘기하기 어렵다”고 답했다.다만 그는 “전체적으로 볼 땐 산업활동 동향이나 경제성장률 등이 이미 최악의 시점을 지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용도 같은 추이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지난 6월에 비해선 신규 취업자 수 감소로 고용 상황이 악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5월의 21만9000명 감소에 비해선 그 폭이 훨씬 작은 만큼 고용 상황도 개선되고 있다는 판단이 가능하단 설명이다.아울러 정 팀장은 지난 7월1일부터 시행된 비정규직법의 영향과 관련한 질문엔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나 해고는 법 시행 이전에도 항시 일어났던 부분”이라며 “아직까진 추세적으로 드러나는 정도가 아니다”고 밝혔다.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