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신화 '자라'의 성공비결

생산유통까지 스피드 전달 소량상품에 마니아층 눈독

▲명동 엠플라자에 위치한 자라 명동점.

8일 오전. 명동 M플라자를 비롯한 전국 7개 자라(ZARA) 매장에 따끈따끈한 제품이 배달됐다. 배달된 가지수는 매장별로 약 8000여장, 그 중 20% 가량이 새로운 제품으로 전날 새벽 비행기를 타고 스페인 본사로 부터 한국까지 배달된 제품들이다. 자라 본사 디자이너들이 기획하고 스페인, 중국 등지에서 생산, 유통까지 2주밖에 걸리지 않아 '패스트패션'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자라는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브랜드다. 제조와 판매를 병행해 최신 트렌드에 맞춘 상품을 빠르게 생산·공급해 소비자들이 빠르게 소비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난해 4월31일 국내 시장에 진출한 자라는 유학생 등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층에게 어필하며 국내 패션 시장 전복을 꿈꾸고 있다. 전세계 73개국 주요 도시에 153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해외 업체라는 점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인다. 자라 관계자는 "다른 해외 명품업체와 마찬가지로 자라는 현재 매출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라며 "다만 1년 동안 재고가 거의 남지 않을 정도로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매장에 따라 다르지만 한 달에 1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알려진 자라의 성공에 국내 패션업체를 비롯 디자이너 등 패션종사자들은 주목하고 있다.

▲자라는 국내 진출 1년 만에 패스트패션 강자로 자리잡았다. 오는 7월에 오픈 예정인 명동 2호점은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디자인 브랜드는 성공하지 못할 만큼 한국 패션 시장은 보수적이기 때문이다. 자라의 성공은 이 같은 국내 패션 소비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패션업체 관계자는 "자라는 새로운 디자인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며 "의상디자인을 어렵게 느꼈던 국내 소비자들이 과감한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근 제일모직은 스페인 SPA브랜드 망고를 전개하기 시작했고, 자라에 이어 스웨덴 브랜드 H&M도 올해 국내 패션시장에 직진출할 계획이다. 자라가 이처럼 새 디자인을 시도할 수 있는 이유는 '다종소량' 생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같은 디자인의 제품이 사이즈별로 4~5개 가량이 매장에 들어온다고 한다. 전세계 매장이 모두 마찬가지로 추가 제작도 어려워 품절이되면 다시 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자라측의 설명이다.
그러다보니 디자인이 특이한 제품이 많고 한정 제품에 열광하는 소비심리도 만족시킬 수 있었던 것. 또 다른 인기 요인으로는 전문 매장과 판매원이 꼽힌다. 자라 매장은 세계 어디를 가나 같은 인테리어를 하고 있다. 이 것 또한 자라의 방침으로 매장 디자인을 스페인 본사가 직접하기 때문이다. '현장 중심'의 경영철학을 가지고 있는 자라는 평균 매장판매원이 매장당 60여명이다. 모두 스페인 본사 소속으로 아르바이트가 없다. 교육 또한 본사 인력프로그램을 활용해 진행한다. 자신의 일에 책임을 가지고 일하도록 만들고, 이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한편 자라는 최근 부산 롯데백화점에 매장을 내고 지방 확장에 나섰다. 또 명동에 7월 또 하나의 매장을 만든다. 자라코리아 관계자는 "올해 광주와 울산 등에도 매장을 낼 계획"이라며 "서울에서 거둔 성공을 바탕으로 지방에서도 자라의 성공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