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정비 어떻게 이뤄지나?

2조3700억원 투입 397km, 유역면적 9912㎢ 물길공사
선도사업지구 기존 하천개발계획과 겹친다는 지적도

[江 경제성장의 핏줄] 금강을 가보니 홍수로 인한 상습침수 '원천봉쇄' 금강 살리기 사업은 전북 장수군 장수읍 뜸봉샘 발원지에서 금강하구에 이르는 유로연장 395㎞, 유역면적 9912㎢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국비 2조1400억원과 지방비·민자 2300억원 등 2조3700억원이 들어가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오는 5월 구체적 개발계획이 담긴 청사진이 확정되면 갑천, 대청, 미호, 행복, 금강, 공주, 부여, 강경 등 모두 8개 지구로 나눠 펼쳐진다. 공사의 시작은 오는 6월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행복지구에서 먼저 이뤄진다. 금강 살리기 사업은 제방보강 120㎞(4124억원)를 비롯해 하도정비 4000만㎥(4878억원), 농업용저수지 24개소(8358억원)가 대상지다. 친수 및 친환경 생태하천 200㎞(6201억원)와 자전거길 255㎞(185억원), 자연형 보 1곳(28억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하지만 이 사업이 지난 2002년 세워진 금강하천정비계획과 겹친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행정도시개발계획에 금강을 비롯한 하천관리계획이 포함돼 사업의 중복으로 인한 국고낭비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다. 금강정비사업은 금강유역의 홍수피해에 대한 예방효과가 크다. 금강유역에선 2002년 태풍 루사가 한반도를 강타했을 때 사망·실종자가 21명에 이르고 약 4728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2003년 태풍 매미 때도 4명이 숨지거나 실종되고 1014억원의 피해가 생겼다. 그동안 진행된 하천정비사업이 주로 국가하천에서 집중 투자돼 지방하천과 소하천 등에 대한 투자가 저조해 홍수피해를 일으키는 주원인이 됐다. 때문에 홍수피해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선 금강 본류 뿐 아니라 지류하천에 대한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의 젖줄인 금강에 단기간에 집중 투자되면 홍수에 따른 상습침수를 막을 수 있고 인접 시·군의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