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물가 하락에 한국만 제자리

선진국들의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물가만 제자리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기획재정부, 통계청 등의 자료에 따르면 OECD 30개 회원국의 지난해 11월 물가상승률은 2.3%로 가장 높았던 7월 2.9%보다 2.6% 떨어졌으나 한국은 11월 물가상승률 4.5%로 7월 5.9%에서 1.4% 하락하는데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G7 등 선진국의 경우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4.6%에서 11월 1.5%로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5.6%에서 11월 1.1%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일본은 같은 기간 2.3%에서 1.0%로, 중국은 6.3%에서 2.4%로 떨어졌다. 한국의 물가는 밀가루 가격이 폭등하며 외식물가가 10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4.7%로 올랐고 서민들이 주로 찾는 자장면 13.1%, 라면 15.0% 올라 서민들이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값은 지난 한 해 동안 12.4% 상승, 국제 유가 하락분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유가나 곡물가격의 원가 상승 요인이 사라졌음에도 기업들이 최종 소비자 가격을 내리지 않고 있으며 정부도 이에 대한 대책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