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중형 골프장 ‘이용료 상한 주중 18만8000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 주말 24만7000원
법률 개정 그린피·카트 사용료 표시 의무화

대중형 골프장 ‘이용료 상한 주중 18만8000원’
AD

[아시아경제 노우래 기자] 대중형 골프장으로 지정을 원하는 골프장은 코스 이용료를 주중 18만8000원, 주말 24만7000원보다 낮게 책정해야 한다.


정부의 세제 지원을 바라는 골프장 체육 시설업자들은 2023년 1월 1일부터 대중형 골프장의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국회가 지난해 5월 골프장 분류체계를 회원제 골프장과 비회원제 골프장으로 나누고, 비회원제 골프장 중에서 이용료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대중형 골프장으로 지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을 완료한 데 따른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2월 30일 시행한 ‘대중형 골프장 지정에 관한 고시’에서 대중형 골프장의 지정 요건으로 ▲ 코스 이용료를 대중형골프장 코스 이용료 상한 요금보다 낮게 책정할 것 ▲ 약관 규제에 관한 법률 제19조의3에 따른 표준 약관 중 골프장 이용에 관한 표준약관을 사용할 것으로 정했다.


대중형 골프장의 코스 이용료의 상한액을 2022년 10월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대상 평균 입장 요금에 통계청이 발표한 오락 및 문화 소비자물가상승률 2.8%를 반영한 뒤 회원제 골프장과 대중형 골프장 간 과세 차등액인 3만4000원을 뺀 금액으로 고시했다.


대중형 골프장으로 등록을 원하는 골프 사업자는 이용 요금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4·5·6월과 9·10·11월 평균 요금이 정부가 제시한 상한 요금을 넘지 않아야 등록할 수 있다. 새해 첫날부터 ‘골프장 이용요금 표시관리 기준’이 전격 시행된다. 모든 골프장은 누리집 내에 코스 이용료를 게재해야 하고, 카트와 식음료 등의 부대 서비스 이용 요금도 표시해야 한다.



다만, 캐디 서비스 이용 요금은 골프장에 직접 지불하는 금액이 아니어서 표시 의무 이용요금에서 제외됐다. ‘골프장 이용요금 표시관리 기준’은 골프장 이용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도입됐다.




노우래 기자 golfm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