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간 3022건 상담 접수
관세 관련 문의 68%로 최다
무역 상담부터 국내외 상담회까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기업들의 문의와 상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지난 2월18일 범정부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설치된 '관세 대응 119'에 이달 18일까지 두 달간 총 3022건의 상담이 접수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미주지역 애로 상담 실적(679건)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이달 초 미국 상호관세 발표 및 유예 발표 시점에는 하루 200건 이상의 상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내용은 관세 관련 문의가 전체의 68%로 가장 많았고 ▲지원사업·인증·규격(21%) ▲대체시장 바이어 발굴(7%) ▲현지생산·투자진출(4%) 순으로 집계됐다. 관세 세부 항목 중에서는 ▲관세율(81%) ▲원산지 규정(8%) ▲부과 시기(7%) ▲과세 가격(4%) 순으로 문의가 집중됐다. 관세사의 문의도 300건 이상 접수됐다.
'관세 대응 119'는 30년 이상 대미 무역 경험을 가진 베테랑 전문가와 관세사로 구성돼 있으며, 간단한 질문부터 전문적인 무역 상담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상담은 전화 또는 코트라 홈페이지 내 관세대응 119 배너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기업들은 1만9000여개 한국산 대미 수출 품목의 관세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관세 확인 시스템'을 활용 가능하다. 하루 평균 접속 건수는 2000건에 달한다.
코트라는 관세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전국적으로 설명회도 확대하고 있다. 2월부터 이달 18일까지 열린 총 29회의 설명회에는 3277명이 참석했으며, 10일부터는 매주 목요일 코트라 본사에서 '통상환경 비상대응 정기 설명회'를 운영 중이다. 10일과 17일 설명회에는 국내외 수출기업 및 해외 진출기업 관계자 627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또 지역 기업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9회에 걸쳐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베트남 등 해외 진출 국가에서도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관세 대응 바우처를 통해 2000개 이상 애로 기업에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지금 뜨는 뉴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는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부담이 되는 사안"이라며 "정확한 정보 제공과 맞춤형 컨설팅은 물론, 대체시장 개척과 생산기지 이전까지 포괄적인 전략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