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미취업 청년 대상으로 설문조사 진행
일자리 부족뿐 아니라 채용구조 어려움 느껴
구직활동에 나선 미취업 청년 가운데 절반은 '경력 위주 채용'을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미취업 청년들이 희망하는 '세전 연봉'의 최소 수준은 평균 3468만원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미취업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미취업 청년들은 일자리 부족은 물론, 경력 위주 채용 등 '채용 구조' 자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활동 여부로 나눠 현재 구직 중인 미취업 청년들을 상대로 어려움을 묻자 ▲양질의 일자리 부족(30.0%) ▲경력직 위주 채용 구조(20.4%) ▲과도한 자격요건 및 스펙 요구(19.6%) ▲지속적 실패로 인한 구직의욕 감소(14.6%) 등 순으로 응답했다.
현재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미취업 청년들은 구직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 ▲자격증 또는 취업을 위한 시험 준비(19.6%) ▲적합한 일자리 부족(17.3%) ▲일정 기간 휴식(16.5%) ▲과도한 스펙·경력 요구(13.8%) ▲계속된 취업 실패(9.2%) 등 순으로 답했다. 시험 준비 등 자발적 요인을 제외하면 구직활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요인이 대체로 일치했다.
미취업 청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양질의 일자리'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31.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고용 안정성(17.9%) ▲일과 삶의 균형(17.4%) ▲직장 내 조직문화(7.3%) ▲개인 적성과의 일치(7.2%)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양질의 일자리'가 한국 사회에 충분히 존재하는지 묻는 질문에선 '부족하다'는 응답이 76.4%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향후 취업(또는 창업) 예상 시기를 묻는 문항에선 '3~6개월 이내'라고 답한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6개월~1년 이내(14.2%) ▲1~2년 이내(13.2%) ▲3개월 이내(8.4%) ▲2년 이상(8.2%) 등 순으로 나타났다. 구간별 중간값에 응답 비율을 반영해 가중평균을 낸 결과, 미취업 청년들은 향후 취업(또는 창업) 예상 시기를 평균 11.8개월로 전망하고 있다.
일할 의향이 있는 최소한의 세전 연봉 수준은 평균 3468만원으로 집계됐다. 학력별로 '고졸 이하'의 경우 평균 3227만원, '대졸 이상'의 경우 3622만 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32.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이 밖에도 ▲구직기간 비용 지원 등 경제적 지원 강화(18.2%) ▲체험형 인턴 등 실무 경험 기회(16.0%) ▲맞춤형 교육·훈련 정보와 기회 제공(11.3%) 등이 나왔다.
지금 뜨는 뉴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 장기화,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 등으로 신규 채용이 줄면서 청년들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신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활력 제고와 고용여력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