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인상 수준 예상보다 높아"
향후 금리 경로엔 '신중론'
'파월 풋' 기대감엔 "개입의사 없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예상보다 과도하다며 관세 정책으로 인해 물가와 경제 성장 촉진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보였다.
16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이코노믹 클럽 연설에서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며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양대 목표가 상충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며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경제가 각 목표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그리고 각 목표와 현실 간 격차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 얼마나 다를지 고려할 것"이라고 전했다.
Fed는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 물가상승률을 2% 수준으로 낮추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가 하락하고 실업률이 올라간다. 이때 금리를 인하하면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Fed 당국자들을 비롯한 경제학자들은 관세가 물가와 실업률을 동시에 올릴 수 있다고 본다.
파월 의장은 연설 후 질의응답에서 관세에 대해 "우리 목표에서 더욱 멀어지게 할 가능성이 크다"며 "아마도 올해 남은 기간 그럴 것"이라고 했다.
다만 금리 인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금리 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당분간은 정책 기조에 대한 조정 전에 더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일시적이라고 보지만 그 영향이 더 지속될 수도 있다고 파월 의장은 전망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에 대한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금리를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파월 의장과 비슷한 견해를 표했다.
반면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지난 14일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분명히 예상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돼 있다면 인플레이션은 2026년에 보다 완만한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둔화가 상당하고 경기침체마저 위협한다면 나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고 더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Fed는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해 수요를 억제한다. 그러나 성장이 둔화한다면 금리를 인하한다. Fed는 작년 말 일련의 금리 인하 이후 12월부터 4.25~4.5%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월가는 오는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29.7%로 전망한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3~4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신중 모드가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시장에서는 증시가 급락할 경우 Fed가 시장 안정을 위해 개입하는 일명 'Fed 풋' 또는 '파월 풋'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 그러나 이날 파월 의장은 이와 관련한 질문에 기대를 꺾는 발언을 했다. 파월 의장은 "시장은 원래 취지대로 작동하고 있고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개입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
줄리안 에마누엘 에버코어 ISI 수석 전략가는 "Fed 풋에 대한 반박과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지속될 수 있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은 시장에 짙게 드리운 불확실성을 부각했다"고 평가했다.
지금 뜨는 뉴스
시장 기대 심리에 찬물을 끼얹는 이 같은 발언 이후 나스닥지수가 3.07% 하락 마감하는 등 미 증시는 하락세를 확대했다. 미 국채 금리도 소폭 하락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