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는 최악의 오폭사고
불발탄은 없어
한미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 중 우리 공군 KF-16 전투기에 의한 폭탄 오폭사고로 민간인·군인 15명이 중·경상을 입은 가운데, 사고의 원인은 조종사의 폭탄 투하 좌표 오(誤)입력 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은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청사에서 열린 긴급 브리핑을 통해 “이번 사고의 원인은 현재까지 KF-16 조종사의 좌표입력 실수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4분께 경기 포천 인근에서 KF-16 2대가 MK-82 일반폭탄 8발(각기 4발)을 비정상 투하한 바 있다.
공군에 따르면 이날 열린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엔 F-35A·F-15K·KF-16·FA-50 등 전투기 13대가 참가했다. 이날 참가 전투기들은 5개 편조를 이뤄 비행했고, 이 중 KF-16 2대로 이뤄진 편조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전투기들이 오폭한 MK-82 8발은 표적과 약 8km 떨어진 곳에 투하됐다. MK-82는 통상 건물·교량 파괴 등에 사용되는 폭탄이다. 직경 8m, 깊이 2.4m의 폭파구를 만들며 폭탄 1개의 살상반경은 축구장(105×68m) 1개 정도의 넓이에 이른다. 탄착지점을 확인한 결과 불발탄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사고로 군인 5명(간부 3명, 병사 2명)과 민간인을 포함해 총 1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군인 5명은 폭탄이 비정상 투하된 종교시설과 인근 부대에 있던 인원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대체로 찰과상·열상 및 이명현상을 호소하는 등 경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에선 조종사의 좌표 오입력을 사고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MK-82는 비유도무기인 만큼 조종사가 수동으로 투하한다. 1번기 조종사가 최초 임무사무실에서 관련 기기에 표적 좌표를 잘못 입력했고, 이를 알아채지 못한 채 잘못 설정된 좌표에 따라 MK-82를 비정상 투하했다는 것이다.
공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사고와 관련한) 조종사의 진술이 있었고, 표적 좌표가 잘못 입력된 것도 확인된 만큼 (사고의 원인을) 오입력이라고 판단했다”라며 “기체 결함 여부나 또 다른 2차 원인이 있는지는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다만 표적 좌표를 담은 기기를 전투기에 꽂고 정보를 업로딩하는 과정에서의 2차 확인, 투하 직전 육안으로 확인하는 2차 확인이 제대로 이뤄졌는 지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공군 측 설명이다.
2번기 조종사의 경우 최초 표적 좌표 입력은 정상적이었으나, 훈련 프로세스상 사고를 막을 순 없었다. 공군 관계자는 “2번기 조종사는 제대로 좌표를 입력한 것이 맞다”면서도 “임무상 1·2번기가 동시에 움직이는 만큼, 1번기가 발사하면 2번기도 동시에 발사해야 해 2번기의 좌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한 원인규명이 이뤄질 때까지 실사격 훈련을 중단키로 했다. 공군 관계자는 "이번 사고로 민간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부상자 분들의 조속한 회복을 기원드린다"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