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과 똑같은 것 만들려는
고정관념부터 벗어나야
AI강국 되는 것은 여러 갈래 길
차별화 방안부터 찾아야 해
정부는 선장보다 후원자 역할
AI기업 규제 풀고, 지원해줘야
![[초동시각]'한국형 챗GPT'가 정답일까](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0620414958027_1741261309.jpg)
"우리는 일본처럼 닌텐도 게임기 같은 걸 못 만드나." 2009년 2월4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수출급감 대책 회의에서 한 주문이다. 닌텐도는 당시 게임사업을 시작한 지 30년 가까이 된, 세계적인 선두주자였다. 반면 한국은 콘솔 제작 분야에서 백지 수준이나 다름없었다. 몇몇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어림도 없었다. 그 당시 대통령의 바람은 '명텐도(이명박+닌텐도)'라는 '웃픈' 조어만 남겼다. 16년이 흐른 지금까지 '한국형' 실패 사례의 대명사로 쓰인다.
"우리는 중국처럼 딥시크 같은 걸 못 만드나." 올해 초 대한민국을 달군 질문이다. "빠른 시일 내에 '한국형 챗GPT'가 개발되도록 하겠다(2월20일)"고 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마음이 급했던 나머지 예산 확보도 안 된 대책까지 내놨다. 세계 최고 수준의 거대언어모델(LLM)을 만들 '인공지능(AI) 국가대표팀'을 꾸리겠다고 했지만, 정작 언제 선발할지는 말을 못 했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추경)부터 통과돼야 한다"는 변명 같은 설명으로 갈음했다. 딥시크 등장에 깜짝 놀란 건 국회도 마찬가지였다. 'AI 3대 강국' 'AI 주권회복' 같은 제목을 단 토론회가 줄을 이었다. 네이버 본사로 의원들이 달려가는 이례적인 일도 벌어졌다.
초고속 인터넷 강국, 반도체 신화를 쓴 한국이 'AI 선진국'을 꿈꾸는 건 당연한 일이다. 노력에 따라 이룰 수 있는 목표이기도 하다. 다만 차별화할 고민과 논의 없이 '제2의 딥시크' 혹은 '한국형 챗GPT'를 이상향 삼아 쫓는 뒷모습을 보면 우려스럽기도 하다. 할 수 있다는 패기도 좋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전략이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IT 관련학과 교수들은 한결같이 "중국, 미국과 똑같은 걸 만들겠다는 고정관념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 근거는 명확했다. 첫 번째는 컴퓨팅파워다. 한국이 가진 엔비디아 최상위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의 개수는 3000여장 수준이다. 반면 메타가 작년 한 해 동안에만 사겠다고 밝힌 H100는 35만장에 달했다. 중국이 아무리 딥시크를 저렴하게 만들었다고 하지만, H100 축소 버전인 H800을 수만장 보유하고 있을 거란 추정도 있다. 우리 정부가 내년까지 GPU 2만장을 확보한다 해도 이들과는 게임이 안 된다.
두 번째는 자금이다. 미국이 AI 데이터센터에 약 730조원을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할 때, 한국은 2조원 규모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 조성 계획을 내놓는 실정이다. 이런 격차라면 AI 인재가 한국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 그런데도 세계 최고의 생성형 AI를 만들 수 있다고 하는 건 지극히 정치적인 수사일 뿐이다.
'한국형 챗GPT'가 AI 경쟁력의 필수조건은 아니다. 길은 여러 갈래로 뻗어있다. 예를 들어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기업 고객을 상대로 판매하는 생성형 AI를 곧 내놓는다. 국내 기업들은 보안 문제에 탓에 해외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에 맡기는 걸 꺼렸는데 KT가 그 빈틈을 파고든 것이다. 삼성전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활용해 'One UI'를 만들어 갤럭시폰에 적용했다. 이처럼 오픈소스를 개량해 의료·금융·제조 같은 산업 영역에서 새로운 AI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정부가 AI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려면 '선장'이 될 때와 '후원자'가 될 때를 잘 구분해야 한다. 어떤 AI 서비스로 승부를 걸어야 할지는 중국과 미국에 떠밀려 생존기로에 선 기업들이 가장 잘 알고 있다. 지금은 정부가 마음껏 AI 기술 개발을 하도록 규제를 없애고, GPU 구입 시 세제 혜택을 주고, 인재 영입 지원을 해 주는 키다리 아저씨가 되는 게 먼저다. '한국형 챗GPT'만 보고 달려가다간 자칫 '명텐도'처럼 실패 사례로 박제될 수 있다.
심나영 차장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