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車 업체 요청 수용"
USMCA 근거해 관세 한 달 면제
미국이 멕시코, 캐나다에 25% 관세를 발효한 지 하루 만인 5일(현지시간) 자동차 업종에 한 달간 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 백악관이 추가 관세 면제 가능성을 열어 놓으면서 관세 갈등이 일부 봉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1개월 (관세) 면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빅3 자동차 업체와 통화했다"며 "USMCA와 관련된 기업들의 요청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에게 한 달 면제를 줘 경제적으로 불리하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빅3 완성차 업체 대표와 통화한 뒤 관세 유예 조치를 내놨다. 포드에서는 빌 포드 회장과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 GM은 메리 바라 회장 겸 CEO, 스텔란티스는 존 엘칸 회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
미국은 4일 밤 12시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한 달간 유예했던 25% 관세를 발효했다. 이들 국가는 북미 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인 USMCA에 따라 대부분 교역품에 무관세를 적용해 왔다. 멕시코, 캐나다 등지에 생산 기반을 둔 미 완성차 업계는 25% 관세 부과로 차량 생산 비용 급등, 공급망 혼란 등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번 관세 조치로 미국 내 픽업트럭 가격이 3000달러에서 1만달러가량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의 존 보젤라 회장은 전날 "모든 자동차 제조업체가 캐나다, 멕시코 관세에 영향을 받게 된다"며 "대다수 사람은 일부 차량 모델 가격이 많게는 25% 오를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업계의 요청을 수용해 관세 발효 하루 만에 멕시코, 캐나다산 자동차 관세를 한 달 유예하기로 하면서 미 완성차 기업들은 일단 한 달 동안 25%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됐다. 미국은 그동안 USMCA 원산지 규정에 근거해 완성차 업체들이 북미산 부품이 일정 비율 포함된 자동차를 미국으로 수출할 때 2.5%의 차 관세를 면제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 완성차 업계 경영진에게 생산 시설 이전을 위해 미국에 투자를 시작하라고 말했다고 레빗 대변인은 밝혔다.
레빗 대변인이 추가 관세 면제 가능성 또한 시사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내놓을 후속 경감 조치에도 이목이 쏠린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또한 이날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 부문 관세 유예를 포함한 관세 경감안을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 정상과 통화하며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그는 이날 오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50분간 통화하고 관세와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 단속 문제를 놓고 대화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의 통화도 예정돼 있다.
다만 백악관은 4월2일 상호관세는 예정대로 발효된다고 거듭 밝혔다. 상호관세는 외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을 감안해 미국이 해외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골자다.
지금 뜨는 뉴스
레빗 대변인은 "상호관세는 4월2일 여전히 발효될 예정"이라면서 "그(트럼프 대통령)는 무슨 일이 있어도 예외 없이 그것이 발효돼야 한다는 강력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