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국 시계는 멈춤, 상생금융 시계는 째깍째깍 "정례화 우려"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금융권을 향한 상생금융 요구가 또다시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상생금융 시즌2'를 준비하고 있는 금융권에선 이런 사회공헌 압박이 매년, 매 정권마다 반복될 수 있다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국 시계는 멈춤, 상생금융 시계는 째깍째깍 "정례화 우려"
AD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이달 초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맞춤형 소상공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은행권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첫 회의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방안을 논의 중이다.


상생금융 시즌2의 밑그림은 지난 2일 개최된 소상공인·지역상권 민생토론회에서 드러난 바 있다. 당시 토론회에선 ▲맞춤형 채무조정 ▲저금리 장기 분할 상환 프로그램 ▲소상공인 상생 보증·대출 프로그램 등이 논의됐다. 시즌1이 '이자 환급'이었다면 시즌2는 '부채 상환·탕감'에 집중된 모양새다.


시즌2의 지원 규모는 지난해 말 시즌1(2조1000억원)과 유사하거나 이를 웃도는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이 올해 역대 최대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예측되면서다. 금융정보분석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4대 금융지주회사(KB·신한·하나·우리)의 연간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전년(15조1367억원) 대비 11.8% 증가한 16조9245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업권에선 상생금융 지원 규모가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에 우려하고 있다. 당장 은행권의 사회공헌 수준은 낮지 않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21조3000억원) 대비 사회공헌액(1조6000억원) 비중은 7.5%에 달해 전년(6.5%) 대비 1.0%포인트 늘었다. 9.2%(2019년)→8.6%(2020년)→6.9%(2021년) 순으로 낮아지던 흐름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해외 주요 은행의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액 비중이 1~2% 내외에 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미 상당한 비용을 사회공헌에 투입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은행권의 보통주자본비율(CET1) 등 실제 건전성 지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CET1은 위험가중자산(RWA)을 보통주 자본으로 나눈 것으로, 금융지주의 손실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금융당국은 이를 13% 이상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각 사도 이를 주주환원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지주회사들은 통상 순이익·손실이 1조원 발생할 때마다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0.4%포인트가량 변동한다. 역산하면 지난해 민생금융지원방안에 따른 4대 금융의 민생금융지원액(2758억~3721억원)은 각 회사 CET1을 0.1~0.15%포인트가량 감소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4대 금융의 지난 3분기 말 기준 CET1은 우리금융 11.96%, 신한금융 13.13%, 하나금융 13.17%, KB금융 13.85%이다. 회사에 따라선 이런 상생 금융 지원액이 건전성 지표를 유지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단 것이다. 이는 곧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에 따른 주주환원 확대라는 당국의 또 다른 목표와도 상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나 은행권에선 이런 상생금융이 고(高)금리 시기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정례화' 수순을 밟을 수 있단 우려가 크다.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이 고금리 시기 은행의 수익성 상향을 두고 '이자 장사'라는 비판을 제기하면서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 연속으로 상생금융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엔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 환급 등으로만 2조1000억원을 추가로 부담한 바 있다.


설상가상으로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정국이 시계제로의 상황이 되면서 이른바 '주인없는 돈'을 둔 기 싸움도 벌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탄핵이 인용될 경우엔 조기 대선 국면이 펼쳐지는 만큼, 차기 대권을 노리는 세력들로선 당장 상생금융책이 나오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단 의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고금리에 당기순이익이 늘어난 만큼 사회공헌 관련 지원액을 확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지난 수년간 선거를 앞두고 상생금융, 홍콩 ELS(주가연계증권) 배상 등으로 큰 비용이 지출됐는데, 이런 식으로 매 해, 매 정권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상생금융을 '갹출'하는 것이 정례화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