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년간 분실·도난 따릉이 2600대…172대 못 찾아

시계아이콘01분 0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GPS 추적되지만 배터리 방전으로 회수 못해
따릉이 연평균 100억 원 적자 운영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위치정보시스템(GPS) 장치 부착에도 분실이나 도난이 끊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이경숙 시의원(도봉1)이 서울시설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분실·도난된 따릉이는 2652대에 달했다. 2480대는 회수했으나 나머지 172대는 찾지 못했다.


공단은 2020년 따릉이에 달린 단말기를 GPS 기반 추적이 가능한 장치로 전수 교체했지만, 회수가 안 된 자전거는 배터리가 방전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분실·도난된 따릉이는 배송원이 직접 회수해 온다. 따릉이 회수와 재배치를 담당하는 배송원은 234명으로 따릉이 대여 건수 대비 적은 편이라 일손이 많이 달리는 상황이다.


5년간 분실·도난 따릉이 2600대…172대 못 찾아 최근 공공자전거 서비스 '따릉이' 누적 이용 건수가 2억 건에 육박하며 분실·파손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서울 여의도역 인근 보관소에 따릉이가 비치돼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이 의원은 "따릉이는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자전거"라며 "무단 이용자에게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따릉이 운영은 연평균 101억원이 넘는 적자를 내고 있다. 지난해에는 운영수입 164억 6700만원, 운영비용 274억1600만원으로 109억4900만원의 적자를 냈다. 따릉이의 일일권 1시간 이용요금은 15년째 1000원을 유지하고 있다.


또 서울시민 2명 중 1명은 따릉이 요금을 올리면 이용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지난 7일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김지향 시의원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공공자전거 요금 현실화 방안 학술연구' 중간보고 자료에 따르면 따릉이 이용회원 1만887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따릉이 요금 인상 시에는 46%가 이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이용자가 절반 가까운 46%였다. 현재 요금에 대한 만족도는 78%로 높은 편이었다.


따릉이 요금은 일일권 1시간 기준 1000원, 2시간 기준 2000원이다. 정기권(1시간 기준)은 7일권 3000원, 30일권 5000원, 180일권 1만5000원, 1년권 3만원 등이 있다. 이 요금 체계는 2010년 11월 시범운영 때부터 지금까지 15년째 동일하다.


따릉이 운영 대수는 2010년 400대에서 올 9월 기준 4만5000대로 크게 늘었으며, 한해 이용 횟수도 4000만건에 육박하고 있다. 그러나 따릉이 사업은 2022년 94억600만원, 지난해 109억4900만원, 올 9월 95억1100만원 등 매년 100억원에 육박하는 적자를 내고 있다.



시는 만성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2022년 광고 사업자 모집에 나섰으나 응찰자가 없어 2회 유찰되기도 했다. 이후 따릉이 적자 해소를 위한 수익 다각화 정책에는 진전이 없는 상태다. 또 서울시는 요금 인상과 신규 요금제 도입 등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지금까지 묘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