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원인증 솔루션 제공 기업 ‘호패(Hopae)’가 60억원 규모의 시드(초기) 투자를 유치했다.
29일 호패에 따르면 이번 시드 투자엔 SV인베스트먼트가 리드 투자자로 나섰고, 일본 Z벤처캐피탈,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가 참여했다.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는 프리 시드 투자에 이어 시드 투자까지 연이어 참여했다.
분산신원인증(Decentralized Identity, DID) 기술은 기존의 중앙형 신원 모델의 개인정보 침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위변조가 불가능한 3세대 디지털 신원 기술이다. 2022년 7월 웹 표준으로 지정된 후 전 세계 정부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에서 지난 5월 발효된'전자본인확인·인증·서명(eIDAS) 2.0' 법안으로 디지털 신원 시장의 잠재성은 매우 크다. 2026년까지 모든 EU 회원국이 시민에게 디지털 신원 지갑을 제공하는 기반시설을 갖추도록 하며, 지난 2년간 6개의 파일럿 프로젝트에 1800억원을 배정했다.
호패는 코로나19 기간 전 국민이 사용한 백신접종증명 서비스 쿠브(COOV)의 총괄 디렉터 심재훈 대표 등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2022년 창업한 스타트업이다. 이후 자체 특허 기술인 ‘디지털 크레덴셜 익스프레스(Digital Credential eXpress, DCX)’를 바탕으로 디지털 신분증 및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며, DID 오픈소스 기술의 표준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최일용 SV인베스트먼트 수석팀장은 “향후 2~3년 이내에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디지털 신원 인증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될 것”이라며 “DID 서비스를 하고 싶은 모든 플레이어는 자신의 비즈니스에 호패의 기술을 알게 모르게 사용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심재훈 호패 대표는 “디지털 신원 시장 규모는 유럽만 600조원으로 추산될 정도로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며 “호패의 뛰어난 오픈소스 기술이 보수적인 유럽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었던 만큼, 세계 최고 수준의 개발자와 글로벌 사업 및 전략을 수립할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