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월 100만원만 벌어도 만족"…'프리터족' 추구하는 청년 구직자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04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44.8%는 "어쩔 수 없어서"
넷 중 한 명 "월 50만~100만원 번다"

직장을 다니지 않고 아르바이트만으로 생활하는 '프리터족' 청년들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한경닷컴은 잡코리아에 의뢰해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도했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대학생·아르바이트생 등 949명 중 자신을 프리터족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60.6%(575명)였다. 이는 잡코리아가 7년 전인 2017년 실시한 조사 결과인 56%보다 4.6%P 증가한 것이다.

"월 100만원만 벌어도 만족"…'프리터족' 추구하는 청년 구직자들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영등포구, 한경협 중장년내일센터, 서울남부고용노동지청, 영등포여성인력개발센터 주관 '2024 희망 행복 미래 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구직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AD

프리터족 대부분은 2030 세대로, 전체 응답자 중 2030 프리터족은 85.7%(493명)나 됐다. 이 중 자발적으로 프리터족이 된 44.8%(221명)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 이상은 어쩔 수 없이 알바로만 생활한다고 답했다. 이들이 프리터족이 된 결정적 이유는 취업난이다. 해당 연령대의 약 40%(200명·복수 응답)가 '취업이 어려워서' 프리터족이 됐다고 했다. 이 밖에도 '당장 생계비·용돈을 벌어야 해서' (37.1%), '조직·사회생활 없이 자유롭게 살고 싶어서' (36.5%), '어학연수·대학원 등 특정 목적이 있어서' (14.8%) 프리터족을 택했다고 답했다. 또 '금전적 욕심이 없어서'(12.1%), '매일 출근할 수 없어서'(11.8%) 프리터족이 됐다는 응답도 있었다. 최저임금 인상도 프리터족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알바로 받는 최저시급만으로 생활이 가능할 것 같아서 프리터족이 됐다는 응답자는 48명(8.3%)이었다.


2030 프리터족의 월수입은 50만원 미만부터 300만원까지 천차만별이었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응답은 월 50만~100만원 미만(27.6%,136명)이었다. 그다음으로는 ▲월 100만~150만원 미만(24.5%) ▲월 150만~200만원 미만(19.3%) ▲월 200만~250만원 미만(8.5%)의 순이었다. 월 250만~30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2.6%였다.

"월 100만원만 벌어도 만족"…'프리터족' 추구하는 청년 구직자들 지난 5월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입장을 위해 등록데스크 앞에 줄을 서 기다리고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프리터족 생활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36.5%(180명)로 불만족(21.1%·104명)보다 높았고,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2.4%였다.


프리터족이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는지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대부분인 90%(854명)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10%(95명)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봤다. 증가를 예상하는 이유로 '조직·사회생활에 싫증을 느끼는 젊은 세대가 많아서'가 56.2%(480명·복수 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도▲정규직 취업이 어려워서(52.6%) ▲최저임금이 매년 상승해서(33.5%)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가 많아서(25.5%), ▲알바 일자리가 증가할 것 같아서 (3%) 등의 답이 뒤따랐다.



프리터족은 '자유로운'이라는 뜻의 영어단어 '프리(Free)'와 '노동자'를 뜻하는 독일어 '아르바이터(arbeiter)'를 합성한 말이다. 1990년대 초 버블경제가 붕괴한 뒤 일본에서 직장에 다니지 않고 아르바이트로만 생계를 잇는 청년들을 일컫는 말로 만들어진 신조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