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 이상 장기실업자 11만명 넘어
외환위기 이후 25년만에 최고 수준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넘게 구직활동을 했으나 일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년 이상 직장을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 수는 최근 6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일 연합뉴스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인용해 지난 8월 기준 실업자 수가 56만4000명이었다고 보도했다. 이 가운데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000명으로 전체의 20%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全月)을 통틀어 외환위기 여파가 있던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중이었던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명을 넘어섰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해 전반적으로 10만명을 밑돌았다. 하지만 장기 실업자 수는 올해 3월부터 다시 늘기 시작했으며, 지난 8월까지 6개월 연속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 7월까지는 전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체 실업자 수는 지난 7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로 전환하면서 두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체 실업자는 줄어들었지만 장기 실업자가 늘면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취업 준비생들이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구직 기간 또한 늘어나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중 이전에 직장을 그만둔 사유가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인 비율이 24.7%였다. 이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의 이전 직장을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18.9%), 제조업(15.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7%) 등의 순이었다. 이전 직장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44.8%), 임시근로자(36.3%), 일용근로자(13.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해 장기 실업자 중에서는 청년층 비중이 두드러졌다. 지난 1~8월 장기 실업자는 월평균 9만85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 448명 늘었다. 이 중에서 15~29세 청년층은 2만9442명(32.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30대가 2만1177명(23.3%)이었다.
또 지난 8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만5000명(10.6%)이나 늘어난 256만7000명이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8월 기준으로 역대 최다이다. '쉬었음'에는 취업 의사가 없는 사람, 취업 의사가 있어도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직장을 찾지 않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3년 이상 '쉬었음'에 해당하는 청년도 지난 5월 기준 8만2000명이나 됐다. 3년 이상 일을 쉰 미취업 청년은 ▲2021년 9만6000명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감소하다가 올해 들어 다시 8만2000명으로 늘어났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