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연 '고령화와 자본시장' 컨퍼런스서 발언
이윤수 금융위원회 증선위 상임위원이 11일 "출생률 제고와 같은 인구구조적 대응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전 분야에 걸쳐 거의 모든 것이 전환되는 고령사회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윤수 증선위원은 이날 오전 자본시장연구원이 서울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개원 27주년 '인구 고령화와 자본시장' 컨퍼런스에서 "최근 학계와 국제기구에서는 '슈링코노믹스(shrinkonomics·축소경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고령화 이슈가 새로운 화두가 아님을 강조했다.
이 증선위원은 또 "우리 금융산업과 금융정책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올해 금융위도 4월 '미래 대응 금융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는데, 몇 가지 사항을 공유드리자면 고령화라는 큰 변수를 염두에 두고 정형화된 방안을 넘어서는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 전략 고도화가 추진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지금처럼 수동적인 고객자산 운용 대신 부채와 절세 등 고객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부에 대한 자문 및 대리 용역을 금융투자업계가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도적으로도 신탁업과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 각 분야에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 증선위원은 "정부도 최근 발표한 신탁업 혁신방안과 사적연금 개혁 등을 열심히 추진하겠다"며 "금융투자업계에서도 새로운 성장 상품과 서비스 혁신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실제로 해외 자본시장에서는 의료·로봇 등 고령 친화 사업 관련 펀드와 벤처투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월배당 금융투자상품도 인기다.
이 증선위원은 "우리도 디지털 헬스·요양 산업과의 결합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금융투자 서비스가 나오길 기대해본다"며 "또 인구구조의 변화가 금융산업의 수익성이나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도 우리 증시에 상장된 기업이 제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인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 밸류업 정책' 노력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국의 인구구조 고령화가 가계의 저축 및 자산구조 선택에 어떤 영향을 초래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마련됐다. 금융시장과 자본시장이 변화를 수용하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도 논의한다. 특히 먼저 인구 고령화에 직면한 일본에서 진행 중인 금융 개혁 정책 사례를 직접 듣는 시간도 마련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