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민들 지갑 얇아졌다" 국민소득 2년9개월만에 최대폭 감소(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4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2분기 실질 GNI(국민총소득) 1.4% 감소
2021년 3분기 이후 2년9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오르면서 지갑사정 나빠져

"국민들 지갑 얇아졌다" 국민소득 2년9개월만에 최대폭 감소(종합)
AD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2분기 우리 국민들의 소득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우리 경제도 1분기 대비 0.2% 역성장했다.


2분기 실질 GNI 1.4% 감소, 2년9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1.4% 감소했다. 이는 2021년 3분기 -1.6%를 기록한 이후 2년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실질 GNI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도 작년 2분기(-0.9%) 이후 1년만에 처음이다.


실질GNI는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실질GNI가 감소했다는 것은 국민들의 경제여력이 줄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실질 GNI 감소는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손실이 전분기 11조3000억원에서 2분기 16조6000억원까지 확대된 영향이 컸다. 2분기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무역손실이 커졌다.


실질무역손실이 커지게 되면 국내 생산 활동이나 수출이 활발하게 이뤄지더라도 소득 증대 효과가 미미해 결국 소비 위축과 투자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2분기에 반도체 가격이 오르면서 수출 여건이 좋아졌지만 국제유가도 오르면서 수입 여건이 더 안좋아진 영향이 교역조건 악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도 전분기 5조9000억원에서 4조4000억원으로 줄어서 감소폭이 더 커졌다는 설명이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우리 국민이 국외에서 벌어들인 돈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을 차감한 수치다.


"국민들 지갑 얇아졌다" 국민소득 2년9개월만에 최대폭 감소(종합)
2분기 경제성장률 -0.2%, 내수 부진 영향

2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2%로 집계됐다. 지난 7월25일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다.


우리 경제는 작년 1분기 0.4%, 2분기 0.6%, 3분기 0.8%, 4분기 0.5%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했다.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건 2022년 4분기(-0.5%) 이후 6분기 만이다.


수출은 호조세를 이어가는 한편 내수는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분기 성장률을 지출항목별로 보면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1.2% 증가했다. 수입도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류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6% 증가했다.


반면 내수 지표인 민간소비는 의류, 승용차 등 재화소비 부진으로 전기 대비 0.2% 감소했다. 건설투자 또한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1.7%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가 줄면서 1.2% 줄었다.


앞선 속보치와 비교하면 설비투자(0.9%포인트), 수출(0.3%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상향 조정됐고 건설투자(-0.7%포인트), 정부소비(-0.1%포인트) 등이 하향 수정됐다.


2분기 GDP에 대한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를 보면 정부소비(0.1%포인트)를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를 보였다. 순수출은 -0.1%포인트, 건설투자 -0.3%포인트, 민간소비 -0.1%포인트, 설비투자가 -0.1%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분기 설비투자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플러스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주체별로 보면 민간이 -0.2%포인트, 정부가 0%포인트를 차지해 민간 영역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이끌었다.



경제활동별 성장률을 보면 건설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건설업은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면서 6.0% 감소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전기 대비 0.8%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감소했으나 운수업, 부동산업이 늘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