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고위험 원천 차단” 밤나무 재배지 항공방제 ‘드론’ 전환

시계아이콘00분 5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내년부터 밤나무 항공방제에 드론이 투입된다. 헬기로 방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사고위험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반영됐다.


산림청은 내년부터 밤나무 재배지의 방제방식을 ‘헬기에서 드론으로’ 전면 전환할 방침이라고 8일 밝혔다.


“사고위험 원천 차단” 밤나무 재배지 항공방제 ‘드론’ 전환 산림청 제공
AD

방제를 하지 않았을 때 밤은 생산량이 59% 줄어든다. 여기에 밤 재배지가 대부분 산림에 조성된 까닭에 항공방제를 통한 방제는 필수적이다.


같은 이유로 산림청은 1981년부터 밤 재배지의 항공방제를 지원해 왔다. 항공방제 지원이 이뤄진 연도별 면적은 2021년 1만7540㏊, 2022년 1만6649㏊, 2023년 1만5022㏊, 올해 1만4613㏊ 등이다. 최근 4년간 연평균 1만6000㏊ 규모의 산림(밤 재배지)에서 항공방제가 지원된 것이다.


문제는 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 과정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실제 전날 경남 하동군에서는 프랑스산 소형 헬기(AS-350) 1대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경상을 입었다.


추락한 헬기는 상공 20m 높이에서 고압 전선에 걸려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 경위는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조사해 결론 낼 예정이다. 조사 기간은 1년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헬기 방제는 15m~20m 높이에서 이뤄진다.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방제 활동을 벌이는 만큼, 사고 위험성도 크다.


이에 산림청은 사고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내년부터 밤 재배지의 항공방제를 헬기가 아닌 드론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드론 성능이 향상된 만큼 앞으로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한 항공방제를 진행해도 무리가 없다는 것이 산림청의 판단이다.


항공방제에 드론을 이용할 때 기대되는 효과도 크다. 기체에 약제를 담아 근접(5m 이내) 살포할 수 있는 이점으로, 장애물 회피와 지형 추적 등 소프트웨어 및 레이더 기술이 발달해 헬기보다 정확한 위치에 제한적으로 약제를 살포할 수 있는 장점도 십분 고려됐다.



이종수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밤 재배지 항공방제에 드론을 투입하는 것은 이전부터 검토돼 온 사안으로, 전날 사고를 계기로 시기만 빨라졌을 뿐”이라며 “드론을 현장에 투입하게 되면, 안전사고 위험은 최소화하고 방제 효과는 극대화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