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밤나무 항공방제에 드론이 투입된다. 헬기로 방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사고위험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반영됐다.
산림청은 내년부터 밤나무 재배지의 방제방식을 ‘헬기에서 드론으로’ 전면 전환할 방침이라고 8일 밝혔다.
방제를 하지 않았을 때 밤은 생산량이 59% 줄어든다. 여기에 밤 재배지가 대부분 산림에 조성된 까닭에 항공방제를 통한 방제는 필수적이다.
같은 이유로 산림청은 1981년부터 밤 재배지의 항공방제를 지원해 왔다. 항공방제 지원이 이뤄진 연도별 면적은 2021년 1만7540㏊, 2022년 1만6649㏊, 2023년 1만5022㏊, 올해 1만4613㏊ 등이다. 최근 4년간 연평균 1만6000㏊ 규모의 산림(밤 재배지)에서 항공방제가 지원된 것이다.
문제는 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 과정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실제 전날 경남 하동군에서는 프랑스산 소형 헬기(AS-350) 1대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경상을 입었다.
추락한 헬기는 상공 20m 높이에서 고압 전선에 걸려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 경위는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조사해 결론 낼 예정이다. 조사 기간은 1년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헬기 방제는 15m~20m 높이에서 이뤄진다.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방제 활동을 벌이는 만큼, 사고 위험성도 크다.
이에 산림청은 사고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내년부터 밤 재배지의 항공방제를 헬기가 아닌 드론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드론 성능이 향상된 만큼 앞으로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한 항공방제를 진행해도 무리가 없다는 것이 산림청의 판단이다.
항공방제에 드론을 이용할 때 기대되는 효과도 크다. 기체에 약제를 담아 근접(5m 이내) 살포할 수 있는 이점으로, 장애물 회피와 지형 추적 등 소프트웨어 및 레이더 기술이 발달해 헬기보다 정확한 위치에 제한적으로 약제를 살포할 수 있는 장점도 십분 고려됐다.
이종수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밤 재배지 항공방제에 드론을 투입하는 것은 이전부터 검토돼 온 사안으로, 전날 사고를 계기로 시기만 빨라졌을 뿐”이라며 “드론을 현장에 투입하게 되면, 안전사고 위험은 최소화하고 방제 효과는 극대화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