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10월 31일 발행된 문서들
3·1운동 같은 시위 전개하자는 내용 담겨
"독립운동 전개 양상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대한민국임시정부 출범을 기념하고자 제작된 자료들이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17일 전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청취하고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
3·1 만세 운동으로 전국이 들썩이던 1919년 10월 31일에 발행된 문서들이다. 그해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수립된 임시정부에서 국내 ‘한성정부’, 연해주 ‘대한국민의회’ 등과 통합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출범한 일을 기념하고자 제작했다. 당시 다이쇼(大正) 일왕의 생일인 10월 31일에 맞춰 발표했다.
김구, 박은식 등 ‘대한민족 대표’ 서른 명의 이름이 적힌 축하문은 ‘10년의 노예 생활을 벗어나 오늘에 다시 독립 대한의 국민이 되었도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우리 국민은 다시 이민족의 노예가 아니요 또한 다시 부패한 전제 정부의 노예도 아니요 독립한 민주국의 자유민"이라고 강조한다. 만세를 부르자는 노랫말이 담긴 축하가도 실려 있다.
선언서는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 운동을 다시 전개하자는 내용이다. “한 번 더 평화로운 만세 소리로 우리 대한민국의 독립국이오 우리 대한민국의 자유민임을 일본과 세계 만국의 앞에 선언하노라”며 독립시위운동을 촉구한다.
“우리 민족은 대한민국의 국민이오 우리 민족을 통치하는 자는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니 우리 민족은 영원히 다시 일본의 지배를 받지 아니할지라.”
두 문서는 매산(梅山) 김양선 숭실대 교수(1907∼1970)가 학교에 기증하면서 존재가 알려졌다. 실물 전단 형태의 문건이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다. 김 교수는 평양숭실대학교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자 고고학자다. 설립·운영한 한국기독교박물관은 훗날 숭실대 부속박물관이 출범하는 토대가 됐다.
국가유산청은 “3·1운동 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 당시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