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D·보잉·LIG넥스원, 獨 항공기 인테리어 엑스포 2024서 OLED 기술 선봬

시계아이콘01분 2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3사 협력 항공기용 OLED 패널 전시
연내 보잉 신기술 테스트용 항공기 비행시험

LG디스플레이는 보잉, LIG넥스원과 28~30일(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항공기 인테리어 엑스포 2024'(AIX·Aircraft Interiors Expo 2024)에서 혁신 스마트 캐빈 기술을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AIX는 세계 최대 항공기 인테리어 및 기내 엔터테인먼트 기자재 전시회다. 항공사, 항공기 부품 제조업체 등 400여개 기업 1만3000여명이 참여한다.


LGD·보잉·LIG넥스원, 獨 항공기 인테리어 엑스포 2024서 OLED 기술 선봬 LG디스플레이 항공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설치된 보잉 스마트 캐빈 부스. 천장 곡선에 맞춰 설치된 커브드 OLED와 전면에 설치된 55인치 투명 OLED 패널이 각 종 영상 콘텐츠와 기내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전달한다.[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AD

3사는 행사에서 기내 승객 경험을 한 단계 높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을 선보였다. 2020년부터 보잉한국기술연구센터(BKETC) 주도 아래 3사가 개발한 OLED 패널을 선보였다. 패널을 항공기용으로 적용 및 제어하는 것에 주안점을 뒀다. 3사는 AIX 전시를 위해 보잉 자회사 '보잉 앙코어 인테리어스(앙코어)'와 협업했다. BKETC는 2019년 설립됐다. 인공지능(AI), 항공전자, 소프트웨어 개발 등 연구개발(R&D)에 주력한다.


보잉 항공기 내에 4개 OLED 패널을 적용했다. 이는 ▲항공기 출입구역 55인치 대형 OLED 패널 ▲천장 곡선에 맞춰 설치된 커브드 OLED 패널 ▲객실 간 칸막이 30인치 투명 OLED 패널 ▲승무원 갤리 27인치 OLED 패널 등이다. 해당 패널은 기장 메시지, 기내 면세품 판매 내용, 기상 상태 등 다양한 정보는 물론 항공사 브랜딩 등을 담을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LCD)보다 가벼워 항공사 비용 효율성을 높여준다.


LG디스플레이는 일반 OLED 패널 대비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항공기용 OLED 패널 개발을 담당했다.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OLED 패널은 기내처럼 어두운 사용 환경에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공간이 한정된 항공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다.


LIG넥스원은 OLED 패널 시스템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비롯해 캐빈 엔터테인먼트용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 및 체계 장착 지원을 맡았다. LIG넥스원은 저전력 고효율 설계를 통해 항공기 운용 환경에 최적화된 장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3사는 OLED 기술을 항공기에 적용하기 위해 기술 개발 및 테스트를 이어갈 계획이다. 우선 해당 스마트 캐빈 기술을 설치한 보잉 신기술 테스트용 항공기 '에코데몬스트레이터'가 연내 지상 및 비행 시험에 돌입한다.


딜런 존스 BKETC 연구소장은 "이번 산업통상자원부 과제를 통해 그동안의 노력을 전 세계에 공개하게 돼 기쁘다"며 "향후 다양한 항공기에 스마트 캐빈 기술을 탑재해 승객 경험 혁신에 일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이클 손 앙코어 부사장은 "첨단 OLED 스크린은 항공사 브랜드 정체성 표현 능력을 강화하는 강력한 도구"라며 "이번 OLED 기술 공개를 토대로 보다 다양한 한국 기업들이 항공기 인테리어 시장에 진입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이민형 LG디스플레이 전략담당 상무는 "항공기용 OLED 솔루션은 고화질, 초경량 등 OLED의 차별적 가치를 기반으로 탑승객에게 새로운 비행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과 긴밀히 협업해 OLED 신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김정열 LIG넥스원 항공연구소장은 "스마트 캐빈은 항공 고객서비스 및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할 혁신 솔루션"이라며 "LIG넥스원이 국방 분야에서 쌓아온 역량을 기반으로 국내 항공우주 기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민수 분야에서 신 성장동력을 찾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