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근본적 치매 치료제' 레켐비, 국내 상륙 임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바이오젠·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항체치료제 레켐비(레카네맙)가 국내에서도 허가받았다. 기존의 대증요법과 달리 치매 환자의 인지능력 저하 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확인한 근본적 치매 치료제 중 처음으로 국내에 상륙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근본적 치매 치료제' 레켐비, 국내 상륙 임박 바이오젠·에자이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한국에자이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신약 레켐비를 24일 허가했다고 밝혔다. 레켐비는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 또는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환자 치료에 대해 안전성과 효과성이 확인된 의약품이다.


임상 3상 시험 결과에서 치매 관련 척도인 기억력, 판단력, 가정생활 등과 관련한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임상치매척도(CDR-SB) 점수가 18개월 기준 인지능력 저하를 위약군보다 27% 늦춘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가장 유력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뇌 속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의 침착을 줄여 치매 진행을 늦추는 기전을 가졌다. 다만 이미 중증 치매로 진행된 이후의 환자를 대상으로는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식약처는 아밀로이드-관련 영상 이상(ARIA)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레켐비 등 Aβ 단백질을 제거하는 치매 치료제들은 혈관 등에 붙어있는 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뇌혈관 미세출혈, 뇌부종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식약처는 "ARIA는 대체로 무증상이나 두통, 혼돈, 어지러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실된다"며 "드물게 발작 및 뇌전증 등 중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 허가 사항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모니터링(MRI) 등의 정기적 영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레켐비의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의 공조에도 나섰다. 품목허가 전, 식약처의 안전성·유효성 심사 결과를 근거로 심평원에 요양급여 결정 신청을 할 수 있는 제도인 '허가-급여평가 연계' 제도를 활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보험약가 평가 기간을 줄임으로써 더 빠른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