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등 韓기업 63개 및 해외 기업 참여
첨단 항공교통 관련 표준 만들기 위해 설립
정부가 첨단 항공교통(AAM) 국제 표준화에 대한 주도권 선점을 위해 세계 최초로 국제기구를 출범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롯데월드타워 스카이31 컨퍼런스 홀에서 세계 최초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G3AM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AAM은 단거리 중심의 도심항공(UAM), 중·장거리 중심의 지역 간 항공교통(RAM)을 포괄하는 항공교통을 의미한다. 교통권 확대, 기존 교통수단의 환경 문제 해소 등 차원에서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AAM은 인공지능(AI), 이동통신,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돼 상호운용성·신뢰성·지속가능성 등을 위한 국제표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다.
이날 출범하는 G3AM은 정보 공유체계, 교통관리 및 운항통제, 필수 항행 성능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개발·유지·관리하고 상호운용성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사실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다. 국내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창립 회원으로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파인브이티로보틱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현대자동차, 이동통신3사(SKT·KT·LGU+) 등 AAM 관련 핵심 국내 기업 63개와 AAM 분야 다국적 기업 원스카이, 스카이포츠, ANRA 테크놀로지스 등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조연설로 국제표준화기구 무인항공기 시스템 의장 존스컬 워커가 'AAM 지원을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을 제시한다.
출범 기념 컨퍼런스에서는 대한항공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 성공사례를 발표한다. 한화시스템과 항공우주산업은 차세대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미래 항공 기체(AAV)를, 이동통신 3사는 AAM 사업 추진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지난해 G3AM 회원으로 가입한 수직이착륙비행장(버티포트) 분야 세계 선도기업인 스카이포츠에서는 버티포트 인프라 개발현황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전영수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G3AM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기구로 자리 잡아 첨단 항공교통 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