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4일 귀어학교 개강과 함께 귀어·귀촌 지원센터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이는 귀어·귀촌인이 어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돕고 인구 유입을 통해 어촌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것이다.
시는 지난 1월부터 3주간 모집을 통해 귀어학교 교육생 20명을 선발했으며, 귀어·귀촌과 어촌 정착에 필요한 3주간의 이론교육과 2주간의 어촌현장 실무·실습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교육 수료생에게는 귀어 창업과 주택구입 지원, 청년 어촌정착 지원, 창업가 멘토링, 배합사료 구매지원 등 혜택이 주어진다. 교육 참가비는 무료로, 시는 올해 총 4차례의 귀어학교를 운영할 예정이다.
귀어·귀촌 지원센터는 인구감소·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촌지역의 활력 증진을 위해 귀어·귀촌을 연계한 도시민 어촌유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귀어·귀촌 희망자를 대상으로 상담 후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어업 기술 지도나 어촌 적응 교육도 한다. 또 지역 주민과 교류 협력 사업을 활성화하고 귀어·귀촌 박람회에도 참가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귀어·귀촌 지원센터가 문을 열면 현재 여러 기관에 분산된 관련 정책을 통합하고 관련 지원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밖에 시는 어촌의 매력과 인지도를 높여 어촌 유입 인구를 늘리기 위해 '관심→희망(준비)→정착→거버넌스' 등 귀어·귀촌에 대한 단계별 사업을 추진한다.
귀어귀촌 박람회 참여와 누리집 구축, 도시민 어촌유치 지원 등 귀어·귀촌 홍보를 통해 관심을 유도하고 귀어·귀촌 사전체험, 귀어학교 운영, 귀어인 인턴제, 귀어 창업과 주택구입 지원을 추진해 도시민의 귀어 초기 부담을 줄여준다.
또 어업인 영어 정착자금 지원, 수산 공익직불제, 귀어인의 집 조성 등으로 안정적인 어촌 정착을 돕는 한편 양식장과 임차료 지원으로 청년들의 수산업·어촌 진입장벽을 낮추고, 어촌·어항 환경 개선과 어촌뉴딜 300 등 어촌생활 서비스 인프라 확충으로 살기 좋은 어촌마을을 조성해 귀어·귀촌인 유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2016년 5133명이던 인천의 어촌 인구는 2018년 4728명, 2020년 3512명, 2022년 3030명으로 계속 감소했다. 인천의 대표적인 어촌지역인 강화군과 옹진군은 2021년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인천시는 2022년 12월 '귀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으며 올해부터 5년 동안 지원 계획을 수립해 센터를 운영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은 접근성이 우수하고 도시와 어촌이 공존하는 지역"이라며 "인천에 꼭 맞는 귀어·귀촌 활성화 사업을 통해 어촌에 희망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