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속 용어]문화재청이 학술 조사 시작한 '불복장'

시계아이콘01분 0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후령통(喉鈴筒)과 경전, 옷감 등 불상 속 부장 유물
불복장 제대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사업자 공모

'불복장(佛腹藏)'은 금이나 은, 각종 보화, 사리, 경전 등 불상 속에 넣는 유물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복장유물(腹藏遺物)', 또는 '불복장(佛腹藏)'이라고도 부르며, 불상 속에 넣은 각종 유물뿐 아니라 불상의 상징성을 부여하기 위한 의례 행위를 포함하기도 한다.


불교의 의례 행위 중 가장 중요한 의식 가운데 하나가 점안식(點眼式)이다. 점안식은 불상, 불화, 석탑, 불단(佛壇) 등을 만들거나 개수했을 때 그 불구(佛具)들이 영험함을 갖춘 신앙의 대상물이 되도록 신성(神性)을 불어넣는 의식이다. 개안식(開眼式)이라고도 한다.


[뉴스속 용어]문화재청이 학술 조사 시작한 '불복장' 문화재청이 지난해 12월 보물로 지정한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사진=연합뉴스]
AD

점안식에서 불상이 신성을 갖춘 성물(聖物)로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은 불상의 배 안에 여러 물건을 넣는 의식이 끝난 이후부터다.


불상 속에 넣는 물건은 '후령통(喉鈴筒)'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후령통은 불상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다. 불상의 가슴 부분 가운데 두고, 주변을 다른 물품으로 꼭꼭 채워 흔들림이 없게 한다. 후령통 속에는 사리를 비롯해 오곡(五穀), 오보(五寶), 오약(五藥), 오향(五香), 오보병(五寶甁) 등 오방과 세상에서 얻어지는 진귀한 물품이 들어간다.


후령통을 채운 다음 각종 다라니를 적은 진언(眞言)과 경전, 비단 천을 비롯한 옷감(복식) 등이 들어간다.


불상 내부에 여러 유물을 봉안하는 방식인 '불복장작법'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복장(腹藏)'은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용어이며, 중국에서는 '장장(裝藏)', 일본에서는 '납입(納入)'이라고 부른다.


4~6세기에 조성된 아프가니스탄 바미얀의 석불이 최초로 알려졌으며, 중국에서는 7세기 이후 당나라 때 이미 성행했다. 우리나라에는 같은 시기 통일신라 때 전해져 고려 때 성행했으며, 10세기경 일본에도 전해졌다.


국내에서는 오대산 상원사의 목조문수동자좌상에서 발굴된 불복장이 가장 유명하다. 후령통과 세조의 후궁으로 알려진 장씨의 저고리 등의 불복장이 나왔다.

[뉴스속 용어]문화재청이 학술 조사 시작한 '불복장'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에서 발굴된 후령통. [사진=문화재청]

불교 미술사와 서지학, 복식사 등을 연구할 때 중요한 연구 대상이자 종류와 수량이 다양한 복장 유물을 제대로 보존·관리하기 위한 학술 조사가 시작된다.


20일 학계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최근 '복장유물 정밀 학술조사 사업' 1차 연도 업무를 맡아 진행할 민간 위탁 사업자를 모집하는 공모를 냈다. 문화재청은 "복합 문화유산인 복장유물의 학술적·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 관리와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라고 사업 목적을 밝혔다.



문화재청은 사업 첫해인 올해는 12월 말까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돼 있거나 현재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불상 복장유물 가운데 5건 이상을 조사해 자료를 정리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게 목표다.

[뉴스속 용어]문화재청이 학술 조사 시작한 '불복장'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