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동시장 밀려난 2030여성, 자살률 증가 영향"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민아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연구

최근 젊은 층 여성의 자살률 증가 배경에는 노동시장에서 밀려난 여성들의 심리적 고통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일 학계에 따르면 이민아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여성학회의 '한국여성학' 최근호에 실린 '노동시장에서의 위기심화와 청년여성 자살률' 논문에서 이 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논문이 인용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5∼29세 여성 자살률은 2011년 인구 10만명당 24.6명에서 2017년 13.4명으로 지속해 줄었다. 그러나 2018년 13.9명으로 반등한 뒤 2019년 16.5명, 2020년 19.4명, 2021년 20.2명으로 다시 늘어났다.


30∼34세 여성 자살률 또한 2011년 24.4명에서 2017년 16.4명까지 계속 감소했다가 2018년 18.6명, 2019년 19.5명, 2020년 19.4명, 2021년 21.6명으로 반등했다. 이 교수는 실업률과 청년여성 자살률 간에는 일관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일자리의 질을 반영하는 비정규직, 시간제 근로 비중은 2018년을 기점으로 증가한 청년여성 자살률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령대 여성 자살률과 임금노동자 중 비정규직 비율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것이다.


25∼29세 비정규직 비율은 2011년(22.99%)부터 2018년(23.34%)까지 정체 수준이었으나 2019년 29.64%로 급증한 뒤 2020년 27.69%로 주춤했다가 2021년 31.94%로 다시 늘어났다. 이 경향은 30∼34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많은 청년여성이 실업을 경험하거나 비정규직, 시간제 노동으로 흡수됐고 이는 여성의 노동시장 내 주변화가 심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 교수는 평가했다. 2020년 코로나19가 발생했고 더 많은 여성이 고용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봤다.

"노동시장 밀려난 2030여성, 자살률 증가 영향"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이 교수는 또 25세 이상 및 30대 여성의 경우 니트(NEET·학업이나 일, 구직하지 않는 무직자) 비율이 자살률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30∼34세 여성 실업자와 비경제활동 인구(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인구) 중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비율은 2017년 4.63%에서 2021년 6.79%로 크게 늘었다. 25세 이상, 30대의 경우 비경제활동의 이유 중 취업, 진학 준비가 심리적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고 구직단념자도 경제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 교수는 진단했다.


그는 청년여성의 니트 비율과 자살률 간의 정(+)적인 관계는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청년여성이 생존의 위기에 몰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연구결과에 대해 "2018년부터 더욱 심화된 노동시장 내 청년여성의 위기와 그로 인한 절망이 자살률을 설명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함의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여성의 노동시장 주변화와 배제는 결혼-출산 규범이 아닌 노동중심의 생애계획을 갖고 있는 여성에게 미래 전망을 어둡게 할 수밖에 없다"며 생활의 어려움과 미래 불확실성 등이 겹치는 아노미적 상황은 자살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그는 "자살의 원인을 일자리, 노동시장에서만 찾을 수는 없을 것"이라며 청년여성의 절망은 사회구조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힌 문제라고 짚었다.



이 교수는 "청년여성의 자살을 정신병리학적 문제로만 접근하면 개선이나 해결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며 "자살을 유발하는 사회적 원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가 필요하며 노동시장 내 차별과 여성 노동의 주변화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