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버스 등 대중교통보다는 승용차가 55%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퇴근 소요 시간도 승용차가 대중교통보다 더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18일 2019~2022년 수도권 통행량 및 네트워크 자료를 활용해 경기도의 출퇴근 특성을 지역별, 수단별로 분석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통근행태 변화’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서울 통근 통행(통근자 하루 1회 기준)은 경기도 전체 통근 통행(하루 1109만 통행)의 18%(200만 통행)로 교통수단별로는 승용차가 55%, 대중교통이 45%를 차지했다.
시군별 서울 통근 통행량은 성남·고양·부천·남양주·용인시 순이었다. 이 중 승용차 이용 비율은 포천·연천·가평이, 대중교통 이용 비율은 수원·광명·부천이 높았다.
도내 출퇴근의 경우도 승용차 의존도가 70% 이상(시군 간 71.4%·시군 내 75.3%)을 차지했다.
경기연구원은 2019년~2022년 교통카드 빅데이터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 이전부터 이후까지의 교통수단별 수송실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도 공개했다.
경기~서울 출퇴근을 주로 담당하는 광역버스와 도시철도는 코로나 시기 수송량이 급감했다가 대부분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도내 출퇴근을 주로 담당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코로나 이전 대비 75%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편도 기준 경기~서울 출퇴근 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58.1분,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78.3분 소요돼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이 1.4배(35%) 더 걸렸다.
반면 도내 시군 간 출퇴근의 경우 승용차 34분, 대중교통 71분으로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의 편차가 2.1배(108%)에 달했다. 이는 코로나 시기에 시내·마을버스의 운행 횟수가 많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지난해 9월 경기도에 거주하는 25~59세 직장인 23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기간 업무행태 및 출퇴근 교통행태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연근무(시차 근무, 자율 출퇴근 포함)를 했을 경우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8분(서울 방향)~12분(도내 간) 출퇴근 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이에 대해 경기도민의 출퇴근 1시간 이내 달성을 위해 ▲지하철·광역버스 시설 및 서비스 확대 ▲도내 시군 간 버스노선 및 인프라 확대 ▲유연근무 확대를 통한 출퇴근 혼잡 완화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했다.
구동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 이후 경기도 대중교통은 더욱 어려워졌다"며 "매일 출퇴근 전쟁을 치르는 경기도민을 위해 시내버스 확대, 버스전용차로 확대와 같은 공급 정책과 더불어 유연근무와 같은 수요 분산 관리 정책을 함께 시행해야만 1시간 이내 출퇴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