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러시아 밀착하며 결속 과시
'거리두기' 해왔던 中 조바심 자극
中 끌어들여 북·중·러 연대 강화 목적
북한 외교가 러시아로 쏠리고 있다. 민감한 군사협력뿐 아니라 다른 모든 분야에서도 결속을 강화하며 더욱 밀착하는 모습이다. 북한이 러시아로 '선택과 집중'을 하면서 그동안 북·중·러 연대에 '거리 두기'를 해왔던 중국의 조바심을 일으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중국까지 향후 이 관계에 개입한다면 동북아시아 신냉전 구도가 본격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18일 크렘린궁과 전문가들에 따르면 북·러는 전날까지 진행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러시아 공식 방문 일정을 통해 전방위적인 밀착을 강화하기로 했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과 최 외무상의 면담과 관련해 "북한은 매우 중요한 파트너"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국제사회의 관심이 많은 무기 거래 뿐 아니라 기술, 관광 등 분야에서의 협력도 증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최근 밀착하는 북·러 관계를 주시하고 있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러시아가 북한에 무기를 제공하고,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지켜봤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북·러의 이런 밀착 행보가 미국보다 오히려 중국에 더 큰 시그널을 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중국보다 러시아와의 밀착을 통해 중국의 조바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중-러 간 등거리 외교를 통해 실리를 얻으려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 북한은 1970년대 김일성 집권 당시 중국-소련 사이 등거리 외교로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공산 진영 내 패권 경쟁을 둘러싼 중·소 갈등을 이용해 중국으로부터는 안보·경제적 지원을, 소련에서는 과학 기술을 받았다. 당시와 상황이 동일하진 않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역시 비슷한 방식의 외교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도 대미 협상을 위해서라도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영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오는 3월 러시아 대통령 선거 이후로 예상되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중국의 정책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실제 중국까지 개입한다면 '한·미·일 대 북·중·러' 신냉전 구도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