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학가려면 무엇보다 수능이지" 공식, 5년 만에 깨진 이유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성인 절반 "학생 인성, 부정적이다" 평가
'인성·봉사활동' 9년만에 1위 자리에 올라

우리나라 성인들이 대입 전형에서 수능·내신 등 성적보다 인성이 더 중요시돼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에서의 교육활동 침해가 심각하다는 인식도 지배적이었다. 이 같은 교육활동 침해의 원인으로는 학생 인권의 지나친 강조를 꼽는 이들이 많았다.


17일 한국교육개발원은 이런 내용이 담긴 '교육 여론조사(KEDI POLL 2023)'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한국교육개발원이 1999년부터 우리나라 교육과 교육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매년 시행해온 조사다. 지난해 조사에는 작년 7월31일부터 8월17일까지 만 19세 이상 75세 미만의 전국 성인남녀 4000명이 참여했다.

"대학가려면 무엇보다 수능이지" 공식, 5년 만에 깨진 이유
AD

이번 교육 여론조사 결과에서 '대입에서 가장 많이 반영해야 하는 것'에 대해 '인성·봉사 활동'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27.8%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보다 7.7%포인트 늘었다. 그다음은 '특기·적성(26.0%)' '수능(25.4%)' 순이었다. '수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1위를 차지하다 이번에 3위로 떨어졌다. 수능을 많이 반영해야 한다는 응답은 전년(30.8%)보다 5.4%포인트 줄었다.


'인성 및 봉사활동'이 1위로 선정된 것은 2014년 이후 9년 만이다. 이는 지난해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됐다가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 아들이 고교 시절 학교폭력을 저지르고도 수능 점수를 100% 반영하는 정시모집으로 서울대로 진학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우리나라 초·중·고교 전반적인 학생의 인성 수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45.9%에 달했다. 특히 중학생 인성은 54.3%, 고등학생은 52.5%로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초등학생 인성과 관련해선 42.8%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초·중·고 학교폭력의 심각성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9.9%가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중학교에선 이 비율이 65.5%까지 치솟았다. 고등학교는 64.2%, 초등학교는 45.9%로 조사됐다. 학교폭력의 주요 원인으로는 '가정교육의 부재(37.4%)'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그다음은 '학교의 학생 지도 부족(24.0%)'이 꼽혔다. 학교폭력 가해 학생을 대상으로 '처벌 조치가 엄격해져야 한다'는 의견에는 60.6%가 동의했다. '화해와 선도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은 19.5%에 머물렀다.

교육 활동 침해 심각도 '5점 만점에 3.78점'
"대학가려면 무엇보다 수능이지" 공식, 5년 만에 깨진 이유 2028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교육시민사회단체가 20일 서울 영등포 전경련회관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내신 전면 절대평가 실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이번 조사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초·중·고교를 평가한다면 어떤 성적을 주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가장 많은 46.0%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부정적'이라는 응답도 41.8%에 달했고,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12.2%에 그쳤다. 초·중·고 교사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신뢰 정도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48.3%로 가장 높았다. '긍정적'은 32.7%, '부정적'은 19.1%였다.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행위 정도에 대해서는 62.5%가 '심각하다'고 봤다. '심각하지 않다'는 답은 10.1%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 교사 사망에서 촉발된 교권 침해 논란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활동 침해 심각도를 5점 척도로 환산하면 3.78점으로 조사됐다. 2021년(3.39점), 2022년(3.61점) 등 최근 3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교육활동 침해가 심각한 이유로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9.6%가 '학생 인권의 지나친 강조'를 첫손으로 꼽았다. 2위는 '교육활동 보호에 대한 학생 및 보호자의 인식 부족(22.7%)', 3위는 '학교 교육이나 교원에 대한 학생 및 보호자의 불신(17.2%)'으로 나타났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