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목표 전년비 10.6% 늘려 잡아
1~10일 수출 11.2%↑
이달 10일까지 수출이 11% 이상 늘어났다. 정부가 올해 목표치로 제시한 7000억달러 달성을 위한 호조세를 기록한 셈이다. 이달에도 반도체와 석유제품 수출이 20% 넘게 증가하며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54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2%(15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수출 10대 주요 품목 중 무선통신기기(-22.0%)와 정밀기기(-1.8%)를 제외한 8개 품목이 증가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은 각각 25.6%, 20.1% 늘어나며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이 외에 승용차(2.2%)와 철강제품(5.9%), 선박(182.9%), 컴퓨터주변기기(15.8%) 등도 수출이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10.1%)과 미국(15.3%), 유럽연합(EU·16.2%) 등에 대한 수출이 신장하며 이들 국가로의 수출 비중이 48.8%를 기록했다. 반면 베트남(-4.6%)과 말레이시아(-27.1%) 등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지난 11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현장을 방문해 반도체 수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안 장관은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업황 불황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플러스로 전환됨에 따라 우리 수출에 도약의 발판이 마련됐다"며 "올해에는 정보기술(IT)업황 회복과 메모리반도체 가격 상승 등 반도체 업사이클로 진입해 2024년은 반도체의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달 10일까지 수입액은 18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3%(16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원유(19.0%)와 석유제품(11.8%) 등의 수입은 증가했고 반도체(-3.4%), 가스(-45.0%), 기계류(-3.2%) 등은 감소했다. 원유와 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도 14.1% 줄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10.9%)과 말레이시아(12.6%) 등은 증가한 반면 중국(-9.9%), 미국(-19.1%), EU(-12.0%) 등은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30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연초에 수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향이 있다며 월말로 갈수록 무역수지가 개선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올해 수출 목표치 7000억달러 달성을 위해 정부는 올해 무역금융을 역대 최대치인 355조원 공급할 방침이다. 또 2조원 규모의 우대보증을 신설하는 등 수출기업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상반기 중 해외전시회 등 마케팅 지원 예산을 3분의 2 수준으로 집중적으로 투입하기로 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