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업부-수소업계 송년 간담회…"적극적 정책 지원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업부-수소업계 송년 간담회…"적극적 정책 지원을"
AD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코리아) 주최로 이호연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수소 업계 송년 조찬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수소 생산(롯데케미칼·SK E&S·효성 등), 유통(에어리퀴드·에어프로덕츠), 활용(현대차·현대로템·두산퓨얼셀 등), 설비·기자재(두산에너빌리티·일진하이솔루스 등) 등 국내 수소 생태계 주요 기업ㆍ기관 등 총 30개 사가 참여했다.


'수소시대의 개막'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수소정책과 전통 석유·가스기업들의 수소 투자계획 등을 토대로 글로벌 수소 투자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수소 1kg 생산시 최대 3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수소 허브 7곳에 총 7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EU는 '리파워EU(REPowerEU)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5기가와트(GW) 규모의 수전해 시설을 설치하고 2030년까지 1천만톤의 재생 수소를 생산· 수입할 계획이다. 셸, BP, 엑손 등 글로벌 석유 기업들은 2030년까지 30여개의 대규모 청정 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간담회 참여기업들은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경제성 및 기술 확보 등에 필요한 적극적 정책 지원과 초기 산업인 수소 산업의 특성을 감안한 합리적 안전 규제 적용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요청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정부는 올해 수소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수전해 등 6대 수소기술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관련 세제 혜택을 강화하고, 수소 산업 규제혁신 민관협의체를 통해 기업 투자 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도 수소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업계와 활발히 소통해 내년도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CHPS)의 차질없는 개설 등 청정수소 기반의 생태계 전환 및 기업투자 촉진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