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정위, 택시 플랫폼 불공정 약관 시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앞으로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장애로 카카오모빌리티 등 택시 호출 플랫폼이 먹통이 된 경우 사업자에게도 책임이 생긴다.


29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 우티, 티머니, VCNC, 코나투스 및 진모빌리티 등 6개 택시 호출 플랫폼 사업자의 불공정약관을 시정했다고 밝혔다.

공정위, 택시 플랫폼 불공정 약관 시정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6개 사업자는 IDC 장애 및 디도스(DDoS) 공격을 불가항력에 준하는 사유로 보고 이 경우 사업자의 책임이 면제되도록 규정했었다. 공정위는 계약 관계나 현재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IDC 장애가 사업자의 관리 영역 밖이라고 보기 어렵고 디도스 공격도 사업자에게 방어 책임이 있다면서 이를 불가항력이라는 이유로 사업자를 완전히 면책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고객이 서비스를 탈퇴하거나 이용계약을 해지할 때 미사용한 쿠폰이나 포인트를 모두 삭제한다는 조항도 불공정약관으로 지적됐다. 고객이 돈을 내고 산 쿠폰이나 포인트는 환불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사업자가 서비스와 관련해 고객에게 부담하는 손해배상 범위를 일정 금액으로 제한하거나 사업자가 가입한 보험 조건을 넘어서면 책임지지 않는 조항도 사업자의 책임 범위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배상 범위를 제한한 것으로 불공정하다고 판단됐다. 플랫폼 사업자들이 포괄적인 사유에 따라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도록 할 수 있는 조항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됐다.



6개 사업자는 공정위의 조사 중에 불공정 약관을 자진 시정했다. 김동명 공정위 약관특수거래과장은 "먹통 사태 때 약관에 따르면 (플랫폼의) 책임이 아예 없었는데 앞으로는 책임이 인정되게 된다"고 했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