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의 수신금리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중은행에선 4%대 예금상품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저축은행에선 이보다 높은 5%대 중반의 금리를 제공하는 곳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평균 금리는 4.19%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지난달 1일(4.11%) 대비 0.08%포인트 오른 수치다.
기관별로 보면 드림·JT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이 우대조건 적용 기준 4.60%의 금리를 제공한다. 이외 MS저축은행(4.55%), 참 ·동양저축은행(4.52%), 스마트저축은행(4.51%) 등도 4.5% 이상의 정기예금 상품을 판매 중이다.
4%대 정기예금 상품은 시중은행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전날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3.90~4.05% 수준으로 모두 4% 전후에 형성돼 있다.
은행별로는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과 전북은행의 JB 123 정기예금이 우대금리 포함 4.20%의 금리를 제공하며, DGB대구은행의 DGB함께예금, KB국민은행 KB 스타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등도 4.05%의 금리를 적용한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수신금리를 올리고 있는 이유론 각 기관의 자금조달 비용이 오르고 있는 점이 꼽힌다. 지난 27일 기준 은행채 1년물 금리는 4.052%로 전월 말(3.900%) 대비 0.15%포인트 상승하는 등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은 상승추세다.
지난해 3~4분기 고금리에 유치한 예금상품의 만기가 도래하고 있다는 점도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10월부터 약 4개월간 금융권 수신 잔액이 100조원 가까이 늘어난 만큼, 이 자금을 재예치하기 위한 금리 경쟁이 시작되고 있단 것이다.
지금 뜨는 뉴스
금융권 관계자는 "당분간 수신 재유치를 위한 금리 인상은 소폭이나마 지속될 것"이라면서도 "다만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이 경색돼 수신 경쟁이 발발했던 지난해와 같은 큰 폭의 상승세는 나타나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설명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